[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운전중] 747일차, 애증의 오픈카

이미지
골프 카브리올레를  이렇게 오래 타고 다닐 줄은  생각도 못했다. 내가 탔던 차 중에서  3년 이상 타고 다닌 건  골프 카브리올레가 처음인 듯 하다. 연비가 좋은 것도 한 몫 했고.. 그동안 타고다닌 차가  마티즈 - 마티즈 - 마티즈 - 레이 - 벨로스터 - 골프까지 왔는데,  요즘 돈도 없고 해서  당분간 바꾸지는 못할 것 같다.

[오늘은 생각중] 갑자기 생각나서 적어보는 옛날 일

대학생 시절에 생활비 벌기 위해서 새벽 아르바이트를 병행한 적이 있다. YTN에서 새벽 뉴스 제작 일을 하고 있었는데, 택시도 없고 해서 중고 스쿠터를 사서 타고 다녔는데, 광화문에서 비 오는 날 빗길에 미끄러져서 죽을 고비를 넘기고 차를 샀다. 스쿠터를 팔려고 중고나라에 100만 원에 내놨는데, 어떤 오토바이 업자가 와서 보더니 상태가 너무 안 좋다며 30에 사 가겠다는 것이다. 내가 30은 너무 에바 같아서 안 판다고 하니까, 그 업자가 "상태가 말한 것과 너무 다르다. 그러면 온 택시비를 보상해달라. 나는 광진구에서 와서 굉장히 많이 나왔다." 이렇게 말을 하는 거다. 짜증 나서 그냥 30 받고 보냈는데, 인제 와서 생각해보니 오토바이 중고 판매업자한테 잘못 걸렸고, 나도 너무 무지했던 것 같다. 그 업자는 그거 팔아서 잘 먹고 잘살고 있겠지. 유튜브 알고리즘이 요즘 침수차 구분하는 방법하고, 중고차 업자들이 침수차 팔아먹는 법 영상 알려주고 있는데, 갑자기 옛날 일이 생각나서 끄적여본다. 다시 생각하니 짜증 난다.

[오늘은 생각중] 많은 기자들이 다른 자리를 찾아 떠난다

기사보다는 광고 영업 취재보다는 사주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는 것 고강도 노동에 저임금 체계에서 오는 피로감 모두가 지쳐 업을 떠난다는 소식을 들을 때마다 나 역시 그토록 사랑했던 이 일을 그만두고 다른 직업을 찾아볼까 고민을 하게 된다...

[오늘은 생각중] 걱정이 많았는데...

지난해부터 원인 모를 설사가 계속돼 큰 병인가 싶은 걱정이 있었다. 피검사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지표로는 아무 이상이 없었기에 결국 위, 대장 내시경을 했는데 깨끗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설사의 원인은 여전히 모르지만 걱정거리가 하나 덜어진 느낌이다. 이제 안심하고 몸에 안좋은걸 먹어도 찔리지 않는다.

[오늘은 공부중] 데비안으로 웹서버 구축 1

올해인가? 지난해인가? CentOS의 정책이 바뀌면서, 많은 사람들이 차기 서버OS를 고심하고 있다. CentOS는 RHEL에서 사후지원만 빠진, 똑같은 OS이기 때문에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인식이 있었다.(그런데다가 서드파티 앱을 깔면 불안정해지긴 마찬가지지만...) 하지만 이젠 차기 RHEL의 베타테스트 격이 되자 많은 사람들이 OS를 갈아타거나, CentOS를 이은 파생 리눅스로 갈아타고 있다. 나 역시 CentOS가 편하기에 파생 리눅스로 가려 했지만, 기기가 문제였다... 유지보수의 용이성 때문에 나는 최신 버전이 아닌, 2012년형 맥미니를 쓰고 있다. 현재 나오는 맥미니는 저장장치가 온보드(메인보드에 납땜을 해서 나오는 방식) 돼 나오기 때문에 저장장치나 램 하나만 고장나도 기판 전체를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데이터의 소거는 말할 것도 없다.(애플이 타임머신을 팔아먹으려 일부러 이런 방식을 도입한 게 아닌지 의심된다...) CentOS 7.8 이후로는 맥 미니에 클린 설치가 되지 않고 있다. 부팅기기를 선택하는 순간 바로 시스템이 다운된다. 아마 커널 충돌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기에 구 버전을 설치해 사용하고 있었다. 이참에 보안성과 호환성을 높인 버전으로 가고자 CentOS가 아닌 Debian으로 가려고 준비중이다. 우분투가 요즘 대세이긴 하지만 차이가 있다. Ubuntu는 Debian의 파생 버전이다. 기본은 Debian이라는 것인데, 이 Ubuntu를 만드는 데 쓰이는 데비안 버전이 안정화(Stable) 버전이 아닌, 불안정한 베타(beta) 버전으로 제작된다는 것이다. 서버는 무엇보다 안정화가 최우선시 돼야 하기 때문에 데비안을 차기 OS로 선택했다. 다행히도 얼마전에 11버전이 나왔기에, 당분간 OS 마이그레이션이 필요없다는 점도 매력적이었다. 우선 데비안으로 웹 서버를 구축할 예정이지만, 차후 상황으로 봐서 도커로 갈아탈 여지도 있다.

[오늘은 생각중] 블로거로는 돈을 벌 수 없다

블로거는 한국에서 돈을 벌려고 인터넷에 글을 쓰는 사람에게는 블로거는 1순위로 배제되어야 할 대상이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쓰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나 카카오에 글이 잘 걸리지도 않고,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처럼 활성화된 블로깅 툴도 아니기 때문이다. "나는 외국 네티즌들을 노리기 때문에 크게 상관이 없을 것 같다"는 사람들이 블로거를 쓰기도 하지만 이 역시 좋지 않은 선택이다. 인스타그램과 트위터 같은 SNS 툴이 사진 이미지를 찾기엔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현장에 가 찍은 사진들을 블로거에 올린다면, 수많은 네티즌들이 구글 검색창에 연예인의 이름을 쳐서, 당신의 콘텐츠를 선택하길 기대해야 한다. 다른 SNS들은 네티즌들이 이름만 치면 당사자의 이름이 바로 나온다.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필요하긴 하지만, 수많은 팔로워를 확보한다면 광고주와 직접 계약을 해 광고를 하거나, 해당 계정을 수백만 원에 계정을 판매할 수도 있다. "기다려서 광고수익을 받는 것과 똑같지 않느냐?"라는 의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애드센스나 애드포스트 광고는 '클릭수'로 이어져야만 수익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광고 차단앱'도 많이 쓰이고 있기 때문에 수익을 내기는 더 어려워지고 있다. 어느정도 '운'이 있어야 수익을 낼 수 있는 애드센스나 애드포스트와 달리, SNS는 자신이 열심히 노력만 한다면, 수많은 팔로워를 모아 광고 효과를 누리고, 이를 본 광고주나 계정 구매자들이 계정의 가치를 매겨 비용을 지불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블로거를 이용하는 이유는 구글이 쉽게 망하지 않기 때문에 자료가 쉽게 날아가지 않을 것이란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싸이월드 사태를 통해 내 데이터가 쉽게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어느정도 인지하고 있다. 구글이 블로거의 운영중단을 결정할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데이터를 백업하고, 다른 플랫폼에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운영 중단에 대한 ...

[오늘은 다시보는중] 해외파병부대 장병들, 이역만리서 보낸 추석 인사

이미지
추석 당일에 나갔다면 더 좋았을 기사지만... 이놈의 엠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