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기사인 게시물 표시

[기사 포트폴리오] 매천대교 하부 금호방면 진출로 확장, 14일부터

교통혼잡이 자주 발생했던 매천대교 하부 금호지구 방향 진.출로가 오는 14일부터 2개 차로로 늘어납니다. 대구시는 사수로 방면 연장 316미터 진출로를 기존 1개 차로에서, 폭 10미터의 2개 차로로 확장해, 팔달교 방면 좌회전 차량과 금호지구 방면 우회전 차량을 완전 분리해 통행할 수 있도록 개선했습니다. 대구시는 교차로를 확장함에 따라 교차로 지체시간은 62%, 차량대기 행렬 길이는 78% 감소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기사 포트폴리오] 대구교육청, 전국 시·도교육청 평가서 ''최우수'' 기관에 선정

대구시교육청이 교육부가 실시한 ''2024년 시·도교육청 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에 선정됐습니다. 전국 17개 교육청을 대상으로 한 이번 평가는 교육 관련 국가시책 추진 현황을 평가하는 것으로, 대구교육청은 늘봄학교 지원 강화와 다문화 교육 지원 강화, 학력향상 지원 강화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최우수 기관에 선정된 대구교육청은 정량평가 최우수 기관에 주어지는 5억원과 정성평가 우수사례 선정에 따른 3억 2천 500만원 등 모두 8억 2천 500만원의 특별교부금을 교육부로부터 받게 됩니다.  

[오늘도 취재중] 정부 부처 보도자료를 모아볼 수 있는 또 다른 사이트 '정책브리핑'

이미지
정부의 보도자료를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또다른 사이트를 소개해보려 한다. 이름은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List.do 상단 메뉴에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이 있는 것을 보니 어느 정권 시절에 만든 홈페이지가 생각보다 접속자가 많은지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는 것 같다. 기자들만 접속할 수 있는 '이브리핑'과 비교하면  부처 일정과 실시간 브리핑 외에는  올라오는 자료 차이가 거의 없다. '정책브리핑'은 대국민서비스이다보니, 누구나 자료를 볼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가끔보면 이브리핑보다 자료가 빨리 올라오는 경우도 많다. 다만 몇몇 부처는 이브리핑처럼 밀린 보도자료 일주일치를 한 번에 등록하거나, 아예 등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역시 정책브리핑만 믿지 말고 각 부처의 보도자료 탭을 즐겨찾기하고, 항상 뒤져보자. 특히 경찰청은 자기네 미담 사례는 보도자료도 안뿌리고 유튜브에 공개해서 기자들이 물 먹는 경우도 적지가 않다... 경찰청 유튜브는 매일매일 확인을 해보자...

[오늘은 생각중] 우리나라의 재난 기사들..괜찮을까?

이미지
"남들보다 빨리 써서, 얼마나 많은 조회수를 기록하느냐." 내가 느끼는 우리나라의 언론이다. 요즘은 빨리 써도 맨 앞에 배치가 안되니까 모든 기사에 '단독'을 붙이는 방법으로 눈에 띄게 만든다. 이렇다 보니 수 많은 언론사가 똑같은 내용의 단독을 하기도 한다. 심지어 자신들의 언론사가 만든 '올해의 소식 TOP 10' 같은 기사에도 '단독'을 붙인다. 클릭수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언론 행태는 "기사를 더 자극적으로 써라"를 부추기고, 이는 뉴스의 질과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만든다. 이번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서도 이러한 언론의 행태는 그대로 드러났다. 일명 '따옴표 저널리즘'이 그렇다. 따옴표 저널리즘은 희생자 또는 희생자 가족들의 발언 일부를 제목을 다는 행위이다. 재난 현장의 참담함을 기록할 필요는 있지만, 그 참담함의 일부를 활용해 보는 이를 자극해선 안된다. 그건 기사를 시청자 또는 독자들이 이성적으로 선택해서 보는 기사가 아닌, 감성적으로 선택해 본 기사이고,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재난 현장은 그 어떤 현장보다도 사실 위주의 내용 전달이 중요하다. 현장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알림으로써 사태의 심각함을 전하고, 추후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의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선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수치 자료와 미사여구를 뺀 담백한 사실 묘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세월호 이후 우리나라 언론의 재난 현장 취재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트라우마를 줄 수 있는 영상 활용과 단어 사용을 자제하고, 사고에 휘말리지 않도록 현장에서 떨어져서 취재할 수 있도록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문제는 언론사들의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고, 이런 언론사들은 가이드 라인을 지키는 것 보다 보다 많은 클릭 수를 얻어 회사의 가치를 높이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기 때문이다. 언론인을 보는 세간의 평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