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고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생각중] 한국의 안전은 안녕하십니까?

얼마전 이태원 참사를 둘러싸고 대통령실에서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내려보내 문제가 된 적이 있다. '압사'가 아닌 '사고'로 표시할 것을 조처하고, '마약' 의혹을 제기하며 참사의 원인이 행정력이 아닌 '개인의 일탈'로 몰아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었다고 생각한다. 코로나19로 중단됐던 해외여행이 재개되면서 나도 일본으로 잠시 머리를 식히러왔다. 신주쿠에 숙소를 잡고 주변을 돌아다니고 있는데, 경찰관 한 무리가 몰려있었다. 가까이 가보니 행인 한 명이 쓰러져있고, 방금 전까지 CPR을 했던 것으로 보이는 한 남성이 안도하는 표정을 짓고 있었다. 사람들이 몰리는 도쿄 거리 곳곳에는 경찰관들이 교통정리를 하거나 순찰을 돌고 있었고, 그들의 시선은 항상 사람들을 향해 있었다. 한국은 어떤가? 사람들이 몰리는 명동 한복판에 경찰관들이 수시로 순찰을 돌고 있는 모습을 본적이 있는가? 사람들이 몰리는 집회현장이나 행사 또는 휴가철에 운영되는 관광경찰이 아닌 이상, 수시로 현장을 돌아다니는 경찰은 본 적이 없다. 신고를 받지 않으면 출동하지 않는 수동적인 공무원의 행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특수본 조사에서 이태원 참사를 둘러싼 거짓된 내용들이 하나하나 드러나고 있다. 현장 도착시간이나 참사 당시 회의 시간을 조작하는 등 책임자들은 어떻게든 책임을 회피하려 초법적 행위까지 스스럼없이 저지르고 있다. 과거부터 그런 식으로 수습해왔기에, 이번에도 똑같은 방식으로 수습하려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참사가 발생할 때마다 조작과 변명이 아닌 "막을 수 있던 사고임에도 불구하고, 막지 못해 죄송하다"라는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준 공직자가 몇이나 되는지 새삼스레 생각하게 된다. 어떤 사람들은 작은 오류나 결함을 보고하더라도 "그렇게 해도 아무 문제없어"라며 무심코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문제가 없는게 아니라, 문제가 쌓이고 있는 것이다. 벌어졌을 수많은 사건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