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안전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외국계나 메일 서버를 고민하는 이유(feat.네x버, 다x을 걸러야 하는 이유)

이미지
나는 예전에 청와대 인턴에 지원한 적이 있는데, 당시 이메일로 떨어졌다는 통보를 받았다. 일주일쯤 지났을까? 당시 떨어졌다는 결과의 이메일을 찾아보려 했는데, 편지함에서 사라져서 찾을 수가 없었다. 대학생 학부 시절의 이메일로 삭제하지 않고 놔두는 나의 성향을 미루어보면 내가 스스로 지우지는 않았을 것이다. 느낌상 네x버나 청와대가 이메일을 지웠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고, 중요한 이메일은 구x 등 외국계 회사의 이메일을 써야겠다고 마음 먹은 이유다. 간편 로그인이라는 이름으로 메신저 ID를 여러 사이트와 연동해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지만, 이 역시도 꺼림칙하다고 느끼는 것이 바로 사용자의 이용내역 '로그'가 어떻게 활용될지 모른다는 점이다. 언론에서 CCTV나 구글을 '빅브라더'라는 이름으로 나의 이력들을 추적한다며 우려를 표하는데, 네x버나 카x오 역시 내 이력을 들여다볼 수 있는 것은 마찬가지 아닌가. 보안 이메일인 프로톤 메일 역시 관리자로써 내 이메일을 열어볼 수 있는 여지는 충분히 있다. 과거 납치사건에 프로톤메일이 활용되자, 프로톤 측은 법원 허가를 받기 전 관련 정보를 경찰 측에 제공해 검거한 바 있다. 필요에 의한 것이었고, 어느 정도의 정보가 제공됐는지는 모르지만, 사측을 압박한다면 내 정보가 공개될 수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 사례라고 생각한다.  그나마 개인정보에 엄격한 스위스 기업이기 때문에 네x버, 다x처럼 말도 없이 내 개인 메일함의 데이터를 지우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내가 최근에 알아보고 있는 것은 시놀로지를 사면 제공되는 시놀로지 메일 플러스 계정이다.  제품 구입에 수십, 수백만 원의 비용이 들어가는데다 전기요금, 하드디스크 관리 비용, 개인의 관리 노력 없이는 상용서비스처럼 안정적인 운영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코 저렴한 서비스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고민을 하는 이유는 이 서버를 내가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용 서비스보다 넉넉한 메일 공간도 확보할 수 있고, ...

[오늘은 생각중] 한국의 안전은 안녕하십니까?

얼마전 이태원 참사를 둘러싸고 대통령실에서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내려보내 문제가 된 적이 있다. '압사'가 아닌 '사고'로 표시할 것을 조처하고, '마약' 의혹을 제기하며 참사의 원인이 행정력이 아닌 '개인의 일탈'로 몰아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었다고 생각한다. 코로나19로 중단됐던 해외여행이 재개되면서 나도 일본으로 잠시 머리를 식히러왔다. 신주쿠에 숙소를 잡고 주변을 돌아다니고 있는데, 경찰관 한 무리가 몰려있었다. 가까이 가보니 행인 한 명이 쓰러져있고, 방금 전까지 CPR을 했던 것으로 보이는 한 남성이 안도하는 표정을 짓고 있었다. 사람들이 몰리는 도쿄 거리 곳곳에는 경찰관들이 교통정리를 하거나 순찰을 돌고 있었고, 그들의 시선은 항상 사람들을 향해 있었다. 한국은 어떤가? 사람들이 몰리는 명동 한복판에 경찰관들이 수시로 순찰을 돌고 있는 모습을 본적이 있는가? 사람들이 몰리는 집회현장이나 행사 또는 휴가철에 운영되는 관광경찰이 아닌 이상, 수시로 현장을 돌아다니는 경찰은 본 적이 없다. 신고를 받지 않으면 출동하지 않는 수동적인 공무원의 행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특수본 조사에서 이태원 참사를 둘러싼 거짓된 내용들이 하나하나 드러나고 있다. 현장 도착시간이나 참사 당시 회의 시간을 조작하는 등 책임자들은 어떻게든 책임을 회피하려 초법적 행위까지 스스럼없이 저지르고 있다. 과거부터 그런 식으로 수습해왔기에, 이번에도 똑같은 방식으로 수습하려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참사가 발생할 때마다 조작과 변명이 아닌 "막을 수 있던 사고임에도 불구하고, 막지 못해 죄송하다"라는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준 공직자가 몇이나 되는지 새삼스레 생각하게 된다. 어떤 사람들은 작은 오류나 결함을 보고하더라도 "그렇게 해도 아무 문제없어"라며 무심코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문제가 없는게 아니라, 문제가 쌓이고 있는 것이다. 벌어졌을 수많은 사건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