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비행기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쉬는중] 양양공항에서 제주가기

이미지
휴가 마지막 주말. 친구들이랑 제주도를 가기로 하고 비행기 예약을 했다. 일전에 무제한 항공권을 끊어놓은게 있기 때문에 공항이용료만 내면 됐다. 왕복 8천 원. 양양공항 가는 길. 코로나19로 일부 항공편이 취소되면서 오전 6시 10분과 오후 5시 비행기만 있다고 한다. 의도치않게 아침형 인간이 돼 1시간 거리에 떨어져 있는 양양공항에 도착했다. 양양공항. 강원도에 있어서 그런지 강원도의 인구 수만큼 공항 규모도 작다. 김포나 김해에 비할 건 아닌 듯. 공항 활성화를 위해 주차비를 받고 있지 않다. 받는다 하더라도 인건비 대비 수익이 날까? 라는 생각이 든다. 불 꺼진 관제탑. 한때 관제사도 꿈꿨던 사람으로써, 여기서 근무하면 되게 여유롭게 일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김포나 인천, 김해는 죽는다 진짜... 아까 양양공항을 김포나 김해에 비할 건 아니라고 했지만, 양양공항은 무려 국제공항이다. 국내선만 다니는 원주공항보다는 급이 높은... 하지만 항공기 이착륙양은 안습이다..... 그나마 강원도는 이정도도 많이 활성화된거라도 여기는 듯..      티켓팅 하는 곳. 이른 아침에도 제주로 가려는 사람들이 많았다. 양양공항은 플라이강원 운송량이 가장 많기 때문에 부스도 가장 많다. 반면 김포에 가면 구석의 2번인가 3번 부스 하나만 존재한다. 성수기때 출범해 많은 수익을 올린 다른 지역LCC와 당리 플라이강원은 출범과 동시에 코로나19 풍파를 맞아 재정에 상당한 위기가 있는 듯 하다... 어찌보면 지역 소규모 항공사의 설움인 듯... 수하물 검색 구역을 지나고 나면 바로 대기실이다. 운항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좌석과 항공기 타는 곳도 적은 듯. 항공기 타는 게이트는 3개가 있다. KTX 시간표가 아니다. 양양공항 운항 스케줄. 하루에 한 편도 없는 지역공항도 많지만,  이정도 비행량이면 적지만 일했다고 말하기 좋고, 1시간 간격으로 비행기가 이착륙 하기 때문에 관제탑과 조종사, 공항 종사자들에게는 어찌보면 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