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증발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도 취재중] 일본에선 사람들이 증발하고 있다

이미지
일본에서는 '밤 이사'라는 사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야밤도주' 격의 성격인데, 다른 점이라고 한다면 가족이나 친지에게 알리지 않고 '본인'만 사라진다는 점이다. 최소 100달러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어디로 이사했는지 아는 사람도 없다. 서류 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법 망에서 찾기도 어려운 듯 하다. 의뢰자들은 도박이나 사업실패로 큰 빚을 지거나 또는 그에 준하는 위협에 처한 사람들이라고 한다. 사라진 후에 어떤 일을 하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은데, '후쿠시마 원전' 폐기물 처리 작업에 많은 사람들이 투입됐을 것이라 추측하는 것 같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사회 현상이 일본의 '자살' 풍습과 관련있다고 보았다. 낙오, 실패가 '불명예'로 인식되는 일본에서 자살을 피하고 싶거나, 새 출발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증발'이라는 선택을 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으로는 일본의 수많은 노숙인들을 설명할 수가 없는 것 같다. 개인적인 추론을 해보자면 인간의 생존 욕구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매슬로우의 욕구 피라미드에 따르면 2단계인 '안전에 대한 욕구'는 3단계인 '애정과 소속의 욕구'보다 본능적인 욕구이다. 여기서 말하는 '안전에 대한 욕구'는 준법 정신을 잘 지킴으로써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수단을 써서든 나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을 뜻한다.  1단계인 '생리적 욕구'와 2단계인 '안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만 상위 욕구를 추구할 수 있는데, 이 중에 2단계를 충족하기 위해 '증발'이라는 선택을 택한 것이라고 본다. 어느 선택이든 남겨진 사람들에겐 고통을 주는 것이니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본다. 바로 상위 단계인 '소속감에 대한 욕구'가 조금 더 강하다면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