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애드센스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생각중] 애드센스 뚫는 것이 거의 고시가 됐군요

유튜브 광고 수익을 벌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애드센스' 가입입니다. 예전에도 애드센스 가입이 쉽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요건이 됐다면 모두 받아줬던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비교적 쉽게 가입된 케이스인데, 요즘은 보니까 1,000자~1,500자 되는 콘텐츠를 꾸준히 올리지 않으면 가입이 어려운 것 같더라고요. 지금의 저였다면 아마 가입이 어렵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애드센스 수익성이 혜자라고는 하지만 저 같은 경우는 취미로 하다보니 광고수익에 열을 내지는 않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애드센스 가입한 지 2~3년 됐지만, 광고수익 출금요건은 채우지도 못했고, 이제 30달러 정도를 기록하고 있네요. 이것도 지금의 블로그보다는 제가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홈페이지에서 대부분의 수익이 창출된 듯 합니다. 전에도 기술했지만, 블로그에 광고를 붙여서 애드센스 수익으로 먹고사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블로그에 들어오는 사람이 많아야 할 뿐더러, 그 사람들이 광고를 클릭해주지 않으면 수익을 내기가 어려웠습니다. 충성도 높은 독자들을 확보해야 수익이 늘어날텐데, 요즘은 대부분의 소통을 글이 아닌 사진이나 영상으로 하다 보니 충성도 높은 독자를 확보하기는 쉽지 않은 듯 합니다. 오늘 서점을 갔다가 '블로그로 한 달에 100만 원 부업하기' 같은 책들을 봤습니다. 책 제목을 보고 "과연 저 사람은 블로그로 번 돈이 많을까? 책으로 벌어들인 인세가 더 많을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심지어 마케팅 비용까지 빠지면 오히려 돈을 내고 책을 냈을 수도 있겠네요. 본인이 꾸준히 글을 올리다 보면 한 푼, 두 푼 쌓이고 쌓여 그게 수익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확실한 건 저처럼 블로그를 운영하면 돈 벌지 못합니다. ㅎㅎ 

[오늘은 생각중] 애드센스... 나는 왜 그렇게 목을 맸던 것일까...?

제가 지금의 도메인을 소유한 것은 대략 한 3~4년 정도 된 것 같습니다. 취재 또는 기자를 뜻하는 여러가지 말 중에 굳이 reporting을 택한 이유는 딱히 없는 것 같습니다. 그냥 우연찮게 제가 reporting이라는 단어를 검색했고, 때 마침 그 도메인에는 주인이 없었고, 이 도메인을 살 정도의 돈이 저에게는 있던 것이죠. 도메인 주소를 사고도 꾸준히 하지는 못했습니다. 워드프레스, 고스트, 미디움 등 다양한 CMS를 설치했다, 지우고, 다시 만들고, 지우고를 반복하다가 정착한 게 바로 이 블로거입니다. 그러다 '애드센스'라는 것을 알게 됐고, 꾸준히 글을 올리고, 이쯤이면 되지 않았을까 싶어 신청을 하면 거부되기를 반복해왔던 것 같습니다. 이번에 받아 들여졌을 때에도 그런 가벼운 생각으로 신청을 했다가 되니까 뭔가 허무한 느낌이 들더군요. 뭐랄까.. 저것만이 길이다 라는 마음으로 계속 버텨왔는데, 막상 해보니 별거 아니니까 "내가 지금까지 뭘 했던 걸까?"라는 그런 기분? 그래서 생각을 해보니 글을 쓰는 즐거움을 제가 잃어버린 것 같았습니다. 자기가 좋아했던 일도 직업이 되면 싫어지듯이, 글을 쓰는 즐거움에서 '돈을 벌어보자'라는 마음으로 억지로 글을 쓰니, 그 글이 제대로 써지지도 않겠죠. 제가 쓴 글이 재미가 없는데, 그 글을 보는 사람들이라고 "과연 즐거웠을까"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유튜브도 단순히 돈 좀 벌어보겠다는 가벼운 마음으로 만든 콘텐츠는 재미도 없고,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죠. 꾸준히 인내하고 취미생활로 덤벼야 나중에 그게 자산이 돼 페이백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재미있는 글도 좀 쓰면서 쉬엄쉬엄 블로그를 해보려 합니다. 아직 사진만 찍어놓고 못 올린 글도 많구요. 구글 포토 정책이 바뀌면서 이것들 올해 6월 30일 이전까지 올린 것만 용량제한 인정해준다고 해서 그전에 싹다 올려야 합니다... ㅎㅎㅎㅎㅎㅎ 구글 애드센스는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광고툴입니다...

[오늘은 쉬는중] 구글 애드센스 심사를 통과했습니다.

이미지
  음... 그동안 되지 않아왔던 애드센스 심사가 통과된 것 같습니다. 애드센스 심사가 굉장히 까다롭다고 들었고, 저도 꽤 많이 거절을 당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통과되고 나니 기분도 좋고, 앞으로 꾸준하고 좋은 글로 보답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동안 쓴 글을 보니 가장 많이 봐주신 글은 대부분 '오픈카'와 관련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오픈카를 타는 것이 처음이고, 아직 우리나라에는 오픈카를 안심하고 탈 수 있는 환경이 되지도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또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 지, 알려진 정보가 적다보니 저도 이리저리 헤매다가 시도하는 것들을 좋게 봐주시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짧은 글 보다는 긴 글. 그렇지만 그 글에서 독자분들에게 무언가 정보를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독자분들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