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홈브류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공부중] 홈브루(Homebrew) 설치 / 삭제 등 기본적인 명령어

이미지
홈브루는 기본적으로 CLI(command-line interface) 인터페이스이다.  일반적으로 맥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는 마우스로 아이콘을 드래그앤드롭 해서 복사를 하면 설치를 하지만, CLI 인터페이스는 키보드로 명령어를 일일이 입력해 설치하는 것이다. 홈브루를 이용할 때 기본적으로 숙지해야 할 명령어 몇 가지를 정리해봤다. 설치프로그램 찾기 패키지 매니저 프로그램을 이용해 설치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해당 프로그램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설치프로그램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은  brew search [프로그램명] 을 치면 확인이 가능하다. 위에서는 웹브라우저인 chrome을 설치하기 위해  brew search chrome 을 검색해봤고, chrome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값 중 google-chrome 이 우리가 찾는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프로그램 설치 프로그램 설치 방법은  brew install [설치 프로그램 이름] 을 입력하면 설치가 곧바로 실행된다. 크롬브라우저를 설치하기 위해선  brew install google-chrome 을 입력하면 된다 설치가 끝난 뒤 응용프로그램에 가보면  이렇게 브라우저가 설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을 확인하는 방법은  brew list 를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다. 이 맥에는 podman-desktop과 google-chrome 두 가지만 설치를 했지만, 목록에는 여러가지가 나오고 있다.  이건 프로그램이 설치시에 필요한 몇가지 프로그램을 함께 설치했기 때문인데, 이를 '종속성'이라고 한다. 아래에 Casks라고 쓰여져 있는 것은 GUI 프로그램. 우리가 명령어로 실행하는 것이 아닌, 마우스로 아이콘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하는 응용프로그램들을 Casks로 별도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프로그램 삭제 우리가 홈브루를 사용하는 이유는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간단하게 ...

[오늘은 공부중] 맥용 패키지 관리자 프로그램 '홈브루(Homebrew)' 설치하기

이미지
맥용 패키지 관리자 프로그램 중 가장 많이 쓰이는 홈브루를 설치해보려 한다. 패키지 관리자 프로그램에 대해 물어보는 분들이 간혹 있을까봐 설명을 하자면 윈도우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같은 기능이라고 보면 된다. 대부분 맥은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언인스톨도 같이 삭제되는 줄 알고 있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프로그램이 삭제되긴 하지만, 임시파일 같은 찌꺼기 파일은 그대로 컴퓨터 안에 남아있기 때문에 나중에 프로그램을 재설치하면 당시 설정이 그대로 되살아난다. 홈브루를 쓴다고해도 100% 다 지워지는 것은 아니지만, 남아있는 파일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쁘진 않은 것 같다. 홈브루를 설치하기 위해선 먼저 홈브루 홈페이지에 들어가야 한다. 홈브루 홈페이지 주소는  https://brew.sh/ 이다. 홈브루 홈페이지를 보면 Install Homebrew라고 친절하게 명령어 한 줄이 나와있다. 저 명령에서 맨 앞에 $를 제외한 나머지를 복사하거나, 자동복사 버튼을 눌러준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홈페이지에 나온 명령어를 그대로 복사해 가져왔으니, 위 명령어를 복사해도 된다. 엔터를 친 것이 아니니 영어로 된 명령어 전체를 복사하자! 복사를 했거나, 복사버튼을 눌렀다면 파인더(흔히들 '폴더 보기') 버튼을 누른 다음 [응용프로그램] 에서 [유틸리티] 폴더를 들어가면 터미널이 나온다. 만약 복잡하다 싶으면 오른쪽 상단 시계 메뉴 옆에 돋보기 모양을 누른 뒤 [터미널] 또는 [terminal] 을 입력하면 똑같이 앱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을 실행했다면 [Command] + [v] 를 눌러 붙여넣기 를 해준다. 이후 [Enter] 를 치면 설치를 진행한다. 처음에 관리자 비밀번호를 물어보니 입력하자. 관리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설치 여부를 물어본다.  그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