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공부중] mariadb 설치하기

일전에 말했던 yum으로도 mariadb는 설치할 수 있지만, 버전이 5.5로 매우 낮다. 2021년 4월 5일 기준으로 나온 mariadb의 버전은 10.5.9이다. 그동안 보안 업데이트나 여러 기술들이 추가됐기 때문에 최신 버전으로의 설치는 중요하다. 다만, 호환성 이슈가 있을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앞서 nginx를 설치했던 것처럼 vi로 repo 파일을 작성해야 한다. cd / cd etc cd yum.repos.d 를 눌러 /etc/yum.repos.d/ 로 이동한다. cd /etc/yum.repos.d/ 로 한번에 이동할 수도 있지만, 간혹 스펠링이 틀려 이동하지 못하면 일일이 체크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더라도 이렇게 이동하고 있다. vi mariadb.repo 를 눌러 설치 환경설정을 한다. [i]를 눌러 입력모드로 전환한 뒤,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mariadb] name=mariadb baseurl = http://yum.mariadb.org/ 10.5 /centos7-amd64 gpgkey=https://yum.mariadb.org/RPM-GPG-KEY-MariaDB gpgcheck=1 이 입력문은 하단에 있는 리포지터리 설정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빨간색 글씨로 표기한 곳이 mariaDB의 버전이다. 향후 업데이트가 된다면 저 부분의 숫자만 수정해주면 된다. [:wq]를 입력해 vi 에디터를 빠져나온 뒤 yum install MariaDB-server galera-4 MariaDB-client MariaDB-shared MariaDB-backup MariaDB-common 을 입력해 설치를 한다. 위에 적힌 것을 모두 설치하면 어지간한 mariadb 툴은 모두 설치가 된다. mariadb는 실행을 한 뒤, DB에 접속하면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systemctl start mariadb mysql 을 입력하면 상단에 mariadb 버전이 10.5.9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래대로라면 mysql -u root -p 를 입력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