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whale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생각중] 네x버 브라우저 웨일(Whale)을 썼을 때 벌어지는 일들

이미지
개인정보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요즘, 그만큼 민감한 것이 개인정보죠? 회원가입 할 때 귀찮다고 눌렀던 체크박스 몇 개가 수많은 스팸전화와 광고문자로 이어지는 경우가 허다해서 너무 피곤해요...   인터넷은 어떨까요? 인터넷 세상도 여러분의 생각처럼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가장 쉬운 사례는 유튜브 알고리즘이죠. 어느 순간 내 취향에 맞는 유튜브 영상들이 줄줄줄 나오지 않았나요? 개인에게 맞춰진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에게 맞춤형 결과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이윤을 창출하는 알고리즘이 작용했기 때문이죠.   문제는 이렇게 맞춰진 정보들이 사람들이 확증편향을 갖게 됐을 경우입니다. 다양한 의견을 듣지는 못하고, 유튜브가 제공하는 정보에 "역시 내 생각은 틀리지 않았어!"라는 확증편향을 갖게 해주죠. 유튜브 알고리즘 속에 사람을 가두는 현상을 우리는 필터버블(Filter Bubble) 이라고 부르기로 했답니다.   그러면 기업은 이렇게 개인화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어떻게 할까요? 폐기할까요? . . . 그럴리가요.   여러분이 무료로 편하게 쓰고 있는 서비스 상당수가 이런 개인취향이나 정보를 수집하는데 동의하고 쓰는 경우가 많답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돌아다니는 짤을 하나 주워와봤어요.       네x버, 녹색창을 쓰는 사람들이 어디에서, 무엇을 검색했고, 통신 IP는 무엇인지가 적나라하게 나와있는 사진이라고 합니다. 무슨 생각이 드시나요? 뭐 저정도쯤이야? 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것 이상으로 민감한 문제입니다. 개인의 의료 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고, 여행일정이나 동선도 체크할 수 있죠. 범죄자가 녹색창에 쳤다면, 그 검색어는 수사에도 활용될 수가 있습니다. 수사기관에서는 검색어 기록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수사망을 좁혀갈 것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범인을 붙잡을 것입니다.    하지만 수사 과정에서 검색 기록이 악용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