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인재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공부중] 삼성SDS에서 교육하는 '청년인재교육'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최근 블로그에 삼성청년인재교육을 키워드로 들어오시는 분이 많으신 것 같네요. 삼성SDS에서 실시하는 교육인데, IT인재 양성을 위해 별도의 교육비도 주며  인재를 양성하고 있는데요. 아마 관련 교육을 받고 싶으신 분들이 미리 알아보기 위해 많이들 찾아오시는 것 같아요. 저는 중간에 취업이 되면서 그만뒀지만, 후기를 간단하게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1. 수업의 난이도(★★★★☆) 결코 쉬운 수업은 아닙니다. 공대생이라서 IT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 있지만, 그럼에도 따라가기가 쉽지는 않았습니다. 수강생은 많고, 짧은 시간에 주어진 과제를 해야하다보니 내 학습속도에 맞춰서 수업이 진행되질 않습니다. 중간중간 도와주시긴 하지만 예습과 복습이 없다면 절대로 따라갈 수 없는 수업입니다. 2. 현업 활용 가능성(★★☆☆☆) 이거는 '딱 이렇다'라고 말씀드리기가 참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제 경험에 비춰서 말씀드리면, 제가 삼성SDS에서 배운 교육은  도커와 쿠버네티스였습니다. 하지만 당시 도커와 쿠버네티스는 결별을 선언했고, 현직자들은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고 있던 시점이었죠. 한 마디로 말하면  이미 끝난 기술을 가르치고 있던 것이죠. 하지만 지원이 한참 전에 종료된 윈도우도  10년 가까이 써왔던 우리나라 환경을 생각한다면, 배운 것을 현업에서 써먹을 수도 있을 것이란 생각도 듭니다. 3. 전망성(★★★☆☆) 이 역시 정확하게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배운 것보다는 낫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저처럼 아예 다른 업종으로 가는 분들이라면 배워도 크게 활용할 수는 없겠지만, 플랜 B를 세울 수 있는 충분한 기반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프로그래밍 언어가  저마다 문법이 다르긴 하지만, 그렇다고 개념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기초만 다져 놓으면 다른 언어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결론이 뭐냐. 배우라는 거냐? 말라는 거냐? 를 따지신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