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팟맨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공부중] macOS에서 Podman을 실행해보자 - 2편

이미지
설치만 했다고 내가 원하는대로 작동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프로그램이 없듯, Podman도 설치만 했다고 가상머신이 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다행히 설치 과정에서 Podman을 시험삼아 가동할 수 있는 스크립트가 있는데, 아주 심플하다. podman machine init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Podman을 실행시키기 위한 코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 특이하다면 데비안 코어를 사용했던 도커와 달리, Podman은 페도라 코어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Podman이 레드헷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같은 레드헷에서 만든 페도라를 사용하는 것 같다. 다만, 페도라는 레드헷의 유료 리눅스인 RHEL의 베타버전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라고 하기에는 살짝 의구심이 들기는 한다. 초기화가 끝났다면 머신을 실행시켜주면 된다. podman machine start 머신을 실행시키는 명령어는 끝에 start만 입력해주면 된다. 아직까지 특별히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큰 변화는 체감되지 않는다. 쉽게 설명을 하자면 지금은 가상머신을 구동하기 위한 기반, 즉, 땅을 산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제 여기에 무엇을 지을지, 어떻게 지을 것인지는 사용자 역량에 달려있다.

[오늘은 공부중] macOS에서 Podman을 설치해보자 - 1편

이미지
Podman에서 macOS 설치방법으로 권장하는 것은 설치파일을 내려받아 직접 설치하는 것이다. Podman 설치파일을 내려받는 사이트는  https://podman.io/ 위 링크를 따라가면 Podman을 쉽게 설치할 수 있지만.... 그러면 이 문서에 글을 쓸 것이 적어지기 때문에 굳이 어려운 길을 가보려 한다. Podman 설치문서는  https://podman.io/docs/installation  에서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권장하지 않는 방법으로 Homebrew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 방법을 써보려 한다. 굳이 권장하지 않는 길을 가는 이유는   1. 오류가 발생하면 손쉽게 롤백(rollback)할 수 있고,   2. 나중에 필요가 없어지면 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해서 이다. 문서를 보면 알수 있듯이 설치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홈브루를 설치한 다음 터미널을 실행시킨 뒤, brew install podman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설치가 시작된다. 초기 설치시에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리니 여유가 있거나, 딴짓을 하다가 올 것을 추천한다. 설치가 끝나면  podman -v 명령어를 입력해 버전이 잘 출력되는지 확인해보자. 출력이 된다면 Podman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여담으로 오래된 맥에서는 Homebrew로 설치가 잘 되더라도 Podman이 실행되지 않거나,  설치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Homebrew 인증키 문제인 것 같았는데,  이럴 경우에는 macOS를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주면 해결이 됐다. 하지만 macOS는 기종에 따라 OS 버전 업을 제한해두고 있으니, 새로운 맥기기를 구매하거나, Opencore Project로 OS를 업할 것을 권한다.

[오늘은 공부중] macOS에서 Podman을 설치해보자 - 서론

이미지
팟맨(Podman)을 설치하게 된 계기를 설명하려면 도커(Docker)가 처음 나왔을 당시로 올라가야 한다. 도커는 일종의 가상머신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컴퓨터 비전공자에게 설명하자면 윈도우에서 다른 OS를 띄우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굳이 그렇게 해야해?"라고 묻는다면 "뭐 그렇긴 하지.."라고 말할 수 있지만, 이렇게 생각을 해보자. 내가 컴퓨터를 만지다가 어디에서 오류가 계속 나고 있다고 가정을 하자. 계속 쓰는 방법도 있지만 분명히 거슬릴 수 밖에 없고, 어느 순간에는 짜증이 치밀어 오를 것이다.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백업과 재설치 그리고 회사 프로그램을 쓰고 있는 PC의 경우에는 공문발송 등 번거로운 절차가 산더미이다.  그런데 가상머신은 컴퓨터를 다시 밀어버릴 필요가 없다. 특정시점의 컴퓨터 상태를 저장한 뒤 되돌릴 수도 있고(스냅샷), 원하는 다른 OS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가상머신은 분리된 별개의 공간이기 때문에 해킹에도 다소 안전한 측면이 있다.(물론 호스트가 털리면 다 털린다...) 한 마디로 설치와 삭제를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생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가상머신은 굉장히 무겁다. 보통은 VirtualBox나 VMware라는 가상머신을 쓰는데, 엄청 좋은 컴퓨터가 아닌 이상은 버벅일 수 밖에 없다. 게다가 CPU나 RAM 공간을 별도로 할당해줘야 하는데, 이것 또한 가상머신이 잡고 있기 때문에 호스트(PC의 원래 OS)와 가상머신 OS 모두 버벅일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도커의 경우에는 이러한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소한 대중적인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단 한 번의 실수로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잘 나가니 "이제 우리도 돈을 벌어야 해. 사업장은 도커 데스크탑(Docker Desktop) 쓸 때 돈 내고 써". 이 한 번의 발표에 사람들은 모두 등을 돌렸고, 그 대안으로 나온 팟맨을 사람들이 공부하고 있다. (온라인 우표제로 몰락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