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공부중] macOS에서 Podman을 설치해보자 - 서론


팟맨(Podman)을 설치하게 된 계기를 설명하려면 도커(Docker)가 처음 나왔을 당시로 올라가야 한다.

도커는 일종의 가상머신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컴퓨터 비전공자에게 설명하자면 윈도우에서 다른 OS를 띄우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굳이 그렇게 해야해?"라고 묻는다면 "뭐 그렇긴 하지.."라고 말할 수 있지만, 이렇게 생각을 해보자.



내가 컴퓨터를 만지다가 어디에서 오류가 계속 나고 있다고 가정을 하자. 계속 쓰는 방법도 있지만 분명히 거슬릴 수 밖에 없고, 어느 순간에는 짜증이 치밀어 오를 것이다.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백업과 재설치 그리고 회사 프로그램을 쓰고 있는 PC의 경우에는 공문발송 등 번거로운 절차가 산더미이다. 

그런데 가상머신은 컴퓨터를 다시 밀어버릴 필요가 없다. 특정시점의 컴퓨터 상태를 저장한 뒤 되돌릴 수도 있고(스냅샷), 원하는 다른 OS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가상머신은 분리된 별개의 공간이기 때문에 해킹에도 다소 안전한 측면이 있다.(물론 호스트가 털리면 다 털린다...)

한 마디로 설치와 삭제를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생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가상머신은 굉장히 무겁다. 보통은 VirtualBox나 VMware라는 가상머신을 쓰는데, 엄청 좋은 컴퓨터가 아닌 이상은 버벅일 수 밖에 없다. 게다가 CPU나 RAM 공간을 별도로 할당해줘야 하는데, 이것 또한 가상머신이 잡고 있기 때문에 호스트(PC의 원래 OS)와 가상머신 OS 모두 버벅일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도커의 경우에는 이러한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소한 대중적인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단 한 번의 실수로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잘 나가니 "이제 우리도 돈을 벌어야 해. 사업장은 도커 데스크탑(Docker Desktop) 쓸 때 돈 내고 써". 이 한 번의 발표에 사람들은 모두 등을 돌렸고, 그 대안으로 나온 팟맨을 사람들이 공부하고 있다. (온라인 우표제로 몰락한 '다음'같다)



팟맨은 유명한 리눅스 회사인 레드헷(Redhat)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이다.

사실 도커가 몰락의 길을 걷기 전까지만 해도 팟맨에 대해선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고 있었지만, 도커 유료화 코인을 탄 레드헷이 "우리도 떡상 한 번 가즈아~~~~~~~!!!!!!!!"하면서 적극적인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Podman-Desktop이 나오면서 더더욱 사람들의 편의성이 늘어나고 있다.

나는 사업자도 아니고, 개인 사용자이기 때문에 Docker Desktop 유료 대상자가 아니지만, 몰락의 길을 걷는 도커가 언제 사라질지도 모르고, 최근에는 Podman을 운용하는 사업장도 늘고 있다. 게다가 Podman이 도커 이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편의 도구를 제공하고 있는 만큼 Podman을 공부하며 서버를 운영해보려 한다.

특히 macOS에 설치하면서 겪는 후기가 많지 않아서, 이런저런 문제해결법을 함께 공유해보려 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