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취재 하고보니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도 취재중] 울산공업축제에 주민동원을 취재한 뒤

이미지
취재를 하다보면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 좋은 일이나 나쁜 짓, 교통사고에도 취재를 하다보면 분명 이유는 존재했다.  공무원들에게 주민들을 모으라고 하고, 인센티브 지급까지 고려한 '울산공업축제' 역시 축제의 흥행이라는 이유가 있었다. 35년 만에 부활한 축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주민 동원이 불가피하다는게 울산시의 설명이었다. 하지만 앞에서는 '자발적인 주민 참여'를 외치더니, 뒤에서는 부서마다 주민 백 명씩 모집하라고 지시하는 것이 축제 성공을 위해서 그런 것일까? 울산공업축제 자체의 취지는 좋았다. 공업도시 울산을 알리고, 노동자와 사측, 주민들을 한데 묶는다는 것까지는 괜찮았다. 퍼레이드마다 기초단체장 이름을 외치고, 지자체장 이름을 외치고, 우리구의 팻말을 흔드는게 과연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에서 나오는 것일까? 현장에 가지는 못했지만,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본 현장의 모습은 북한의 체제선전과 다름없어 보였다. 퍼레이드의 구성도 의구심이 들었다. 헬스 트레이너들의 플래시몹은 무엇이며, 울산의 상징인 파란색이 아닌, 지자체장의 정당색인 빨간 티를 입고 춤을 추는 모습은 이 축제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혼란스러웠다. 모빌리티의 변천사를 보여주기 위해 등장한 경운기에는 연예인들이 타고 있었는데, 이는 도로교통법 상 불법에 해당한다. 축제라는 이름으로 면죄부를 쓸 수는 있겠지만, 모빌리티의 변천사를 보여주기 위한 경운기 뒤에 사람을 태울 필요가 있었을까. 취재를 더 해보면 더 많은 이야기가 나올 것도 같다. 가장 궁금한 것은 갑작스럽게 축제가 추진된 배경이다. 축제가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4월 경으로 추정된다. 철저한 준비도 없이 고작 두, 세 달 준비한 축제를 울산의 대표 축제를 만들겠다는 생각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정부가 세금도둑을 잡겠다며 민간단체에 대해 보조금 감사를 벌였고, 지역화폐 보조금 폐지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지자체장이 추진한 축제에 쓴 비용이 제대로 쓰였는지는 누가 감사하고, 제대로 감사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