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기자인 게시물 표시

[오늘도 취재중] 정부 부처 보도자료를 한 자리에 '이브리핑'

이미지
정부 부처 보도자료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 바로 '이브리핑' 홈페이지 주소는 http://ebrief.korea.kr 이다. 주관부처는 문화체육관광부. 정부부처의 실시간 브리핑을 포함해 대부분의 보도자료를 이곳에서 볼 수 있다. 기자들만 이용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보니, 회원사에 가입이 돼 있어야 한다. 나는 가입한 지 오래됐기 때문에 언론사 정보를 입력한 것은 기억이 아는데, 어떻게 등록을 했는지는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기자증이나 명함을 등록했던 것 같기도 하고... 들어가면 이런 자료들을 볼 수 있다. 흔히들 '기자'라고 하면 '미공개정보' 속칭 '찌라시'를 받아본다고 생각하는데, 국민세금으로 운영되는 곳이다보니 그런거 없다. 부처 출입기자들의 보도자료를 먼저 받아보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모두 엠바고가 걸려있고, 그렇다고 해서 의미있는 정보가 있지도 않다. 원문은 각 부처의 '보도자료' 탭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날짜를 지정해서 보도자료를 검색할 수도 있고, 정부부처 별로 검색해서 볼 수도 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언론사 등록이 돼 있어야 하지만, 그렇다고 의미있는 정보를 먼저 받아보거나 그런건 없다. 출입기자가 아닌 이상 모든 자료는 엠바고 해제와 동시에 대국민 공개된다. 이브리핑을 무조건 믿어서도 안되는게 일부 부처는 이브리핑에 늦게 올라오거나, 안올라오는 경우가 많다. 그냥 정부부처 홈페이지를 일일이 눌러가며 '보도자료'탭을 검색하는게 더 빠른 경우도 있다. 그러니 번거롭더라도 정공법으로 가자. 편리함 추구하고, 도구에만 의지하면 실력은 늘지 않고, 그저 남들하는 만큼만 하는 기자로 남을 수 있다.

[오늘은 생각중] 언론사는 왜 수익다변화를 하지 않을까...

전 회사에 대해 안좋은 얘기를 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문득 생각이 나서 한 번 끄적여보려 한다. 여러 언론사를 거쳐오면서 다양한 일을 겪었고, 지금 생각해보면 이해할수도, 이해하지 못한 일도 다수 있다. 그 중 이해하지 못할 일을 하나 꼽아보자면 인터넷 언론사에 근무 했을 당시의 있었던 일이다. 기자협회에 속해있지만, 소규모 언론사였기에 대부분의 기자들이 거친다는 언론진흥위원회 문턱은 밟아볼 수도 없었고, 자체 교육으로 수습기간을 보내고 있을 때였다. 당시 수습기자들에게 아침마다 주어진 일이 두 가지 있었는데, 하나는 연합뉴스 기사를 분해해서, 사실만을 열거한 뒤 중요도에 따라 재배치해보는 일이었고, 또 다른 하나는 연예뉴스 기사 10개를 쓴 뒤 서로 광고를 클릭하는 것이었다.  연합뉴스 기사를 분해한 뒤 재조립하는... 업계 용어로는 우라까이라고 말하지만, 이 훈련은 생각보다 많은 도움이 됐다. 하지만 연예기사 10개를 할당해서 쓰고, 광고를 서로 누르게 하는 것은 함께 입사한 동기 중 그 누구도 이해하지 못했다. 그랬기에 회사에 동기들 대부분이 회사에 불만을 갖고 있었지만, 당시 우리는 정규직도 아니고, 계약직도 아니고, 수습이었기에 아무도 말하지 못했다. 선배들은 우리 회사는 광고 수익을 내지 못하기에 이렇게 할 수 밖에 없다고 이야기했다. 그렇지만 술자리에서는 대기업이 아무런 조건도, 이유도 없이 '관리'라는 명목하에 광고비 3백만 원을 받은 것을 자랑스럽게 이야기했다. 겉과 속이 다른 조직이 싫었기에, 수습이 끝나자마자 사직서를 던졌다. 다른 5명의 동기들 역시 시기의 차이는 있지만 6개월 내에 모두 회사를 탈주했다. 이후 여러 언론사를 거쳤지만 공영방송과 국영방송을 제외한 대부분의 민영방송사들은 광고수입에 의존하고 있었다. 광고를 가져오는 방법이야 많았지만, 대부분은 광고의 기대효과보다는 리스크 관리 명목하에 주는 광고였다. 광고비에 의존하는 것은 초기자본이 가장 적게 들면서도, 가장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