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공무원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쉬는중] 대전 평화롭다

이미지
골프 카브리올레의 성지라고 불리는 대전 바른손 정비에 차를 맡기고, 울산에서 일하다가 대전으로 직장을 옮긴 후배 만나러 가는 길 여유로운 대전 시내. 생각보다 스타벅스가 많이 있는 것에 놀랐다. 공무원이 많아서 그런가?? KBS 대전총국의 모습. MBC, TJB 둘다 특구에 있는데, KBS만 동떨어진 느낌... 아.. 생각해보니 울산도 KBS만 남구에 있네... 평화로운 줄 알았더니 내릴때쯤 되니까 보이는 소방차들. 밥먹으러 온 후배한테 물어보니 오늘 훈련이 있다고 한다. 사건사고 없으면 최고지 뭐...

[오늘도 취재중] 울산공업축제에 주민동원을 취재한 뒤

이미지
취재를 하다보면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 좋은 일이나 나쁜 짓, 교통사고에도 취재를 하다보면 분명 이유는 존재했다.  공무원들에게 주민들을 모으라고 하고, 인센티브 지급까지 고려한 '울산공업축제' 역시 축제의 흥행이라는 이유가 있었다. 35년 만에 부활한 축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주민 동원이 불가피하다는게 울산시의 설명이었다. 하지만 앞에서는 '자발적인 주민 참여'를 외치더니, 뒤에서는 부서마다 주민 백 명씩 모집하라고 지시하는 것이 축제 성공을 위해서 그런 것일까? 울산공업축제 자체의 취지는 좋았다. 공업도시 울산을 알리고, 노동자와 사측, 주민들을 한데 묶는다는 것까지는 괜찮았다. 퍼레이드마다 기초단체장 이름을 외치고, 지자체장 이름을 외치고, 우리구의 팻말을 흔드는게 과연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에서 나오는 것일까? 현장에 가지는 못했지만,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본 현장의 모습은 북한의 체제선전과 다름없어 보였다. 퍼레이드의 구성도 의구심이 들었다. 헬스 트레이너들의 플래시몹은 무엇이며, 울산의 상징인 파란색이 아닌, 지자체장의 정당색인 빨간 티를 입고 춤을 추는 모습은 이 축제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혼란스러웠다. 모빌리티의 변천사를 보여주기 위해 등장한 경운기에는 연예인들이 타고 있었는데, 이는 도로교통법 상 불법에 해당한다. 축제라는 이름으로 면죄부를 쓸 수는 있겠지만, 모빌리티의 변천사를 보여주기 위한 경운기 뒤에 사람을 태울 필요가 있었을까. 취재를 더 해보면 더 많은 이야기가 나올 것도 같다. 가장 궁금한 것은 갑작스럽게 축제가 추진된 배경이다. 축제가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4월 경으로 추정된다. 철저한 준비도 없이 고작 두, 세 달 준비한 축제를 울산의 대표 축제를 만들겠다는 생각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정부가 세금도둑을 잡겠다며 민간단체에 대해 보조금 감사를 벌였고, 지역화폐 보조금 폐지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지자체장이 추진한 축제에 쓴 비용이 제대로 쓰였는지는 누가 감사하고, 제대로 감사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