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언론사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생각중] 우리나라의 재난 기사들..괜찮을까?

이미지
"남들보다 빨리 써서, 얼마나 많은 조회수를 기록하느냐." 내가 느끼는 우리나라의 언론이다. 요즘은 빨리 써도 맨 앞에 배치가 안되니까 모든 기사에 '단독'을 붙이는 방법으로 눈에 띄게 만든다. 이렇다 보니 수 많은 언론사가 똑같은 내용의 단독을 하기도 한다. 심지어 자신들의 언론사가 만든 '올해의 소식 TOP 10' 같은 기사에도 '단독'을 붙인다. 클릭수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언론 행태는 "기사를 더 자극적으로 써라"를 부추기고, 이는 뉴스의 질과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만든다. 이번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서도 이러한 언론의 행태는 그대로 드러났다. 일명 '따옴표 저널리즘'이 그렇다. 따옴표 저널리즘은 희생자 또는 희생자 가족들의 발언 일부를 제목을 다는 행위이다. 재난 현장의 참담함을 기록할 필요는 있지만, 그 참담함의 일부를 활용해 보는 이를 자극해선 안된다. 그건 기사를 시청자 또는 독자들이 이성적으로 선택해서 보는 기사가 아닌, 감성적으로 선택해 본 기사이고,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재난 현장은 그 어떤 현장보다도 사실 위주의 내용 전달이 중요하다. 현장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알림으로써 사태의 심각함을 전하고, 추후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의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선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수치 자료와 미사여구를 뺀 담백한 사실 묘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세월호 이후 우리나라 언론의 재난 현장 취재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트라우마를 줄 수 있는 영상 활용과 단어 사용을 자제하고, 사고에 휘말리지 않도록 현장에서 떨어져서 취재할 수 있도록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문제는 언론사들의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고, 이런 언론사들은 가이드 라인을 지키는 것 보다 보다 많은 클릭 수를 얻어 회사의 가치를 높이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기 때문이다. 언론인을 보는 세간의 평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