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구글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확실히 네이버 블로그가 조회수는 잘 나오는 듯

이미지
확실히 포털강국, 네이버 공화국이라는 말답게 네이버 블로그 조회수가 구글이나 티스토리보다 잘 나오는 것 같다. 블로그는 흔히들 '적금통장'이라는 표현을 자주 하는데, 글이 많이 쌓일수록 조회수도 함께 올라가기 때문이다. 부업으로 하기에는 딱이지만, 주업으로 하라고 하면 솔직히 하루에 몇 개의 글을 써야하는 것인지 감도 안잡힌다.(인터넷 매체에서 기자로 근무했을 때 하루에 기사를 10건 넘게 썼었는데, 그 정도 써야 하려나?) 오늘 하루 내 블로거에 유입된 방문자는 고작 16명에 불과하다. 반면 네이버 블로그는 일주일 전에 시작했는데 벌써 방문자 수가 100명 대를 넘어가고 있다. 물론 애드포스트 입점을 노리고, 독자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올리고 있는 네이버 블로그와 달리, 블로거는 일상 공유 같은 소소한 이야기들이니 목적이나 수익성 창출에 있어서 차이는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오랫동안 운영해온 블로거보다, 단기간 운영한 네이버 블로그가 더 방문자수가 많이 나온다는 것은 "내 블로거의 콘텐츠의 질이 독자들에게 와닿을만큼 매력적이지 못했던 것 아닌가.."라는 생각을 갖게 만들었다. 글을 쓰는 도구에 있어서도 네이버가 조금 더 편하고, 스티커 등 도구들도 다양하다.  그렇지만 애드센스에 못미치는 광고 수입이라던가, 글로벌한 경쟁력 없이 국내에서만 소비되는 콘텐츠가 아쉬운 것은 어쩔 수 없는 듯 하다. 덧. 티스토리도 좋기는 하지만 이상하게 개인 도메인만 먹이면 노출 빈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있던데... 왜 그런건지 잘 모르겠네요. 그래도 국내 검열 눈치보지 않고 자유롭게 글쓰기는 티스토리나 네이버보단 블로거가 나은 듯.

[오늘은 생각중] 애드센스 뚫는 것이 거의 고시가 됐군요

유튜브 광고 수익을 벌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애드센스' 가입입니다. 예전에도 애드센스 가입이 쉽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요건이 됐다면 모두 받아줬던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비교적 쉽게 가입된 케이스인데, 요즘은 보니까 1,000자~1,500자 되는 콘텐츠를 꾸준히 올리지 않으면 가입이 어려운 것 같더라고요. 지금의 저였다면 아마 가입이 어렵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애드센스 수익성이 혜자라고는 하지만 저 같은 경우는 취미로 하다보니 광고수익에 열을 내지는 않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애드센스 가입한 지 2~3년 됐지만, 광고수익 출금요건은 채우지도 못했고, 이제 30달러 정도를 기록하고 있네요. 이것도 지금의 블로그보다는 제가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홈페이지에서 대부분의 수익이 창출된 듯 합니다. 전에도 기술했지만, 블로그에 광고를 붙여서 애드센스 수익으로 먹고사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블로그에 들어오는 사람이 많아야 할 뿐더러, 그 사람들이 광고를 클릭해주지 않으면 수익을 내기가 어려웠습니다. 충성도 높은 독자들을 확보해야 수익이 늘어날텐데, 요즘은 대부분의 소통을 글이 아닌 사진이나 영상으로 하다 보니 충성도 높은 독자를 확보하기는 쉽지 않은 듯 합니다. 오늘 서점을 갔다가 '블로그로 한 달에 100만 원 부업하기' 같은 책들을 봤습니다. 책 제목을 보고 "과연 저 사람은 블로그로 번 돈이 많을까? 책으로 벌어들인 인세가 더 많을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심지어 마케팅 비용까지 빠지면 오히려 돈을 내고 책을 냈을 수도 있겠네요. 본인이 꾸준히 글을 올리다 보면 한 푼, 두 푼 쌓이고 쌓여 그게 수익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확실한 건 저처럼 블로그를 운영하면 돈 벌지 못합니다. ㅎㅎ 

[오늘은 쉬는중] 구글 애드센스 심사를 통과했습니다.

이미지
  음... 그동안 되지 않아왔던 애드센스 심사가 통과된 것 같습니다. 애드센스 심사가 굉장히 까다롭다고 들었고, 저도 꽤 많이 거절을 당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통과되고 나니 기분도 좋고, 앞으로 꾸준하고 좋은 글로 보답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동안 쓴 글을 보니 가장 많이 봐주신 글은 대부분 '오픈카'와 관련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오픈카를 타는 것이 처음이고, 아직 우리나라에는 오픈카를 안심하고 탈 수 있는 환경이 되지도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또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 지, 알려진 정보가 적다보니 저도 이리저리 헤매다가 시도하는 것들을 좋게 봐주시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짧은 글 보다는 긴 글. 그렇지만 그 글에서 독자분들에게 무언가 정보를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독자분들께 감사합니다. :)

[오늘은 공부중] 구글 애널리틱스 2일차

그동안 올려야지 올려야지 하고서는 못올렸다. 이제부터 하나씩 정리하면서 GAIQ도 따고, 내 자신의 가치 좀 올려봐야지. 참고로 말하자면 중간에 평가점수를 80점 이상 취득하지 못하면 수료 인증서를 받을 수 없다. 귀를 열고 눈을 크게 뜨고 잘 듣자. 첫 시간이었던 만큼 가장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었다. 구글 애널리틱스가 어떤 용도로 활용되는지, 또 작동방식은 어떻게 되는지를 배울 수 있었다.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알겠지만, 구글 애널리틱스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 어떤 액션을 취해 어느 행동까지 도달했는지를 분석하는 도구이다. 물론 구글 애널리틱스가 만능은 아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쓴다고 해서 방문자가 급증하거나, 판매량이 급증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한 마디로 "데이터를 분석해 조금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만드는 도구" 라는 것. 그러니까 개개인의 데이터 분석 능력과 대응력은 스스로 키워야 한다. 프로그래밍을 조금은 할 줄 알면 좋다. 요즘은 홈페이지가 워낙에 다 잘 돼있기 때문에 굳이 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홈페이지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일일이 프로그래머를 호출할 수도 없고, 유지보수팀이 24시간 상주할 수도 없는 노릇이니 내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은 스스로 키우자. 구글 애널리틱스로 수집할 수 있는 정보는 브라우저 설정 언어와 유형, 접속 기기와 운영체제 등이다. 이러한 정보들로 내 홈페이지를 어느 국가 에서 많이 접속하는지, 모바일 유저에게 인기가 있는지, 데스크탑 유저에게 인기가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 와 맥 ,  리눅스 등 운영체제도 분석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윈도우 유저가 많고, 맥OS는 피치못할 사정으로 이용하는 사람보다는 "그냥 사과 제품이 좋아서"라는 이유로 쓰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의미는 없는 것 같다. 구글 애널리틱스로 무제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은 아닌데 세션...

[오늘은 공부중] 구글 애널리틱스 1일차, 자격증을 따야겠어

이미지
 사실 따려면 벌써 몇개는 땄을 자격증이지만... 하루 일과를 끝내면 엄청나게 밀려오는 '귀차니즈밍'으로 못딴게 사실이다. 최근 일련의 사태를 보고 가만히 있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다시 자격증을 따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중 가장 빠르고 간편하게 딸 수 있다는게 바로 '구글 애널리틱스 IQ(GAIQ)' 민간자격증이긴 하지만 데이터 분야에서 이만큼 널리 알려진 자격증도 없기 때문에 한 번 취득을 해보려고 마음을 먹었다. 공부하는 기간도 짧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취득할 수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