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보도자료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1-1. 보도자료로 기사 연습하기

중국에 '꽌시'라는 말이 있다. 우리말로는 '관계' 정도로 번역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우리나라를 비롯해 외국 기업이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중국 고위관료와 꽌시를 트느냐, 못트느냐에 따라 성패가 달렸다고 한다.  갑자기 '꽌시'를 왜 설명하냐면 우리나라 대부분의 언론사가 기업과 '꽌시'를 틀기 위해 복붙기사를 엄청 쏟아내기 때문이다. 인터넷 언론 기사를 보면 대부분 보도자료를 긁어다 붙인 듯이 토씨 하나 똑같은 경우가 많다. 심한 경우에는 보도자료에 있는 오타마저도 기사에 그대로 반영돼 있다. 과거에는 기업들이 공짜로 홍보가 되니 좋아했겠지만, 지금은 자신들과 돈이 오고 가는 관계를 트기 위한 행동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렇게 달갑지 만은 않다.  모 기업에서는 친하게 지내던 언론사 기자가 신생 매체를 차려 인사를 하러 오면, 식사 자리는 한 번 가질 지 언정 광고 얘기는 지급 기준이 되지 않는다며 철벽을 친다. 요즘은 말도 안되는 억지 기사를 쓰면 소송도 불사하기 때문에 언론 시장이 녹록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언론사는 계속 늘어 이제는 매체 수가 2만 개가 넘었다.   아무튼 이렇게 생긴 언론사들은 대부분 취업준비생들의 꿈을 갉아먹으며 산다. 나이는 차고, 언론사의 문은 좁아지면서 조급해진 취준생들이 월 200만 원 정도의 돈을 받으며 인터넷 언론사에 취업을 하는데, 첫 직장에서 몸값이 200만 원으로 정해지면 다른 곳으로 이직을 하더라도 월급이 200만 원에서 시작한다.  그 곳에서 제대로 된 취재를 하는 것도 아니다. 주저리 주저리 말했던 것처럼 기업과 관계를 트기 위해 보도자료를 복사, 붙여넣기 하거나, 연합뉴스나 조선일보 같은 매체가 쓴 기사를 베껴쓰며 트래픽을 빨아 먹는 것이 전부다. 이런 곳에서 2~3년 간 일한 뒤 다른 곳에 "나 경력 기자요"하며 이력서를 내면 대부분은 서류에서 떨어진다. 그럼에도 인터넷 매체에서 길을 모색하거나, 다른 지원자보다 조...

[오늘도 취재중] 정부 부처 보도자료를 모아볼 수 있는 또 다른 사이트 '정책브리핑'

이미지
정부의 보도자료를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또다른 사이트를 소개해보려 한다. 이름은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List.do 상단 메뉴에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이 있는 것을 보니 어느 정권 시절에 만든 홈페이지가 생각보다 접속자가 많은지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는 것 같다. 기자들만 접속할 수 있는 '이브리핑'과 비교하면  부처 일정과 실시간 브리핑 외에는  올라오는 자료 차이가 거의 없다. '정책브리핑'은 대국민서비스이다보니, 누구나 자료를 볼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가끔보면 이브리핑보다 자료가 빨리 올라오는 경우도 많다. 다만 몇몇 부처는 이브리핑처럼 밀린 보도자료 일주일치를 한 번에 등록하거나, 아예 등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역시 정책브리핑만 믿지 말고 각 부처의 보도자료 탭을 즐겨찾기하고, 항상 뒤져보자. 특히 경찰청은 자기네 미담 사례는 보도자료도 안뿌리고 유튜브에 공개해서 기자들이 물 먹는 경우도 적지가 않다... 경찰청 유튜브는 매일매일 확인을 해보자...

[오늘도 취재중] 정부 부처 보도자료를 한 자리에 '이브리핑'

이미지
정부 부처 보도자료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 바로 '이브리핑' 홈페이지 주소는 http://ebrief.korea.kr 이다. 주관부처는 문화체육관광부. 정부부처의 실시간 브리핑을 포함해 대부분의 보도자료를 이곳에서 볼 수 있다. 기자들만 이용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보니, 회원사에 가입이 돼 있어야 한다. 나는 가입한 지 오래됐기 때문에 언론사 정보를 입력한 것은 기억이 아는데, 어떻게 등록을 했는지는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기자증이나 명함을 등록했던 것 같기도 하고... 들어가면 이런 자료들을 볼 수 있다. 흔히들 '기자'라고 하면 '미공개정보' 속칭 '찌라시'를 받아본다고 생각하는데, 국민세금으로 운영되는 곳이다보니 그런거 없다. 부처 출입기자들의 보도자료를 먼저 받아보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모두 엠바고가 걸려있고, 그렇다고 해서 의미있는 정보가 있지도 않다. 원문은 각 부처의 '보도자료' 탭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날짜를 지정해서 보도자료를 검색할 수도 있고, 정부부처 별로 검색해서 볼 수도 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언론사 등록이 돼 있어야 하지만, 그렇다고 의미있는 정보를 먼저 받아보거나 그런건 없다. 출입기자가 아닌 이상 모든 자료는 엠바고 해제와 동시에 대국민 공개된다. 이브리핑을 무조건 믿어서도 안되는게 일부 부처는 이브리핑에 늦게 올라오거나, 안올라오는 경우가 많다. 그냥 정부부처 홈페이지를 일일이 눌러가며 '보도자료'탭을 검색하는게 더 빠른 경우도 있다. 그러니 번거롭더라도 정공법으로 가자. 편리함 추구하고, 도구에만 의지하면 실력은 늘지 않고, 그저 남들하는 만큼만 하는 기자로 남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