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카카오톡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생각중] 다음카카오는 항상 잘나갈때 초를 친다

지금은 네이버가 포털중에 가장 잘나가지만, 한때는 네이버보다 다음이 잘 나간 때가 있었다. '한메일(hanmail.net)'을 쓰던 시절, 다음은 그 어느 포탈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이용했고, 네이버, 라이코스, 야후 등 후발주자들이 다음을 따라잡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내놓았지만 한메일의 아성을 이기진 못했다. 그렇게 잘나가던 다음이 망가진 건 2002년 '온라인 우표제'를 도입한다고 발표하자마자이다. 메일을 대량으로 발송하는 사람은 실명으로 발송하게 하고, 건당 10원 씩의 비용을 물리는 제도였다. 취지는 스팸을 막겠다고 내놓았던 것이지만, 돌아보면 취지보다는 수익성 극대화가 목적이었던 것 같다. 수많은 이용자가 다른 메일을 이용하기 위해 떠났고, 다음은 메일 뿐만 아니라 포탈사이트 1위의 자리도 내주고 말았다. 그 일이 있은 지 20년이 지나자 다음카카오는 또 다시 같은 실수를 반복했다. 다음시절부터 운영하던 티스토리의 광고정책을 변경한 것이다.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강제로 광고를 삽입하기로 하면서, 많은 블로거들이 대체 플랫폼을 찾아 떠난 것이다. 부랴부랴 다음카카오가 후원형 버튼을 내놓기는 했지만 없느니만 못한 기능이었기에 떠나간 발길을 돌리진 못했다. 기업이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지만, 그 방식이 기존 이용자들에게 불편이나 손해를 끼치는 것이라면 누가 변화를 환영할까. 기업은 "너희는 우리 플랫폼을 공짜로 쓰고 있잖아"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그 플랫폼이 성장할 수 있던 것은 그만큼 좋은 콘텐츠를 공급해 온 블로거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우리가 업계 1등이니 우리가 정하는 방식을 무작정 따르라는 것은, 독점기업이 소비자들에게 불공정 거래를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이제는 카카오톡과 카카오T 외에는 다음카카오를 설명할 콘텐츠도 없다. 포털사업은 네이버에 이어 구글에게도 밀리는 실정이다. 지난해 초 다음카카오 경영진들이 스톡옵션을 활용해 주식을 대량 매각하는 방식으로 엄청난 부를 누렸다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