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교환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운전중] 스마트포투 타이어 교체기

이미지
폭탄 스마트포투 CDI를 들고와서 수리 맡기고  운전을 한 지 3일차... 아무리봐도 타이어는 갈아야 했기에  여기저기서 비교하고 있었다. 타이어 가격이야 뭐 그렇게 큰 차이는 아니지만, 사기 아닌 사기를 당한 내 입장으로썬 최대한 지출을 아껴서 본전을 뽑아봐야 했기에 타이어 가격도 아껴봐야했다. 스마트 포투는 앞뒤 타이어가 짝짝이다. 앞은 165 R60 15 뒤는 185 R55 15 차가 이렇다보니 위치교환을 통한 수명 연장의 꿈은 사실상 힘든 실정... 마모한계선 오면 그냥 교환 가야 한다... 코스트코 타이어 견적가격이 대략 36만 원인데, 코스트코 가격은 여기에 포함해야 할 것이 더 있다. 설치비와 타이어 처리비...  한짝에 8천 원 정도 하니,  36만 원에 3만 2천 원을 더하면  대략 40만 원을 생각해야 한다. 인터넷 최저가는 그래도 좀 많이 싼 편 SSG닷컴에서 25만 원 견적을 뽑았는데, 여기에 휠 얼라인먼트랑 밸런스도 본다면  대략 30만 원 정도 할 듯 했다. 가격은 얼마 안하지만  사기 아닌 사기를 당했단 생각에 머리가 복잡해질때쯤  골프로 기분전환 좀 하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들린 집 앞 타이어 은행. 타이어은행을 그닥 좋아하지 않는 이유 중에 하나는  생산된 지 오래된 타이어 재고를 새 타이어 가격보다 살짝 싸거나, 1~2만 원 저렴하게 판다는 것이다. 타이어가 굴러가지 않은 상태에서 오래되면 딱딱해지기도 하고, 때로는 갈라지기도 하기 때문에 1~2만 원 아껴서 수명단축 하고 싶진 않았다. 그래도 요즘은 이벤트 기간이기도 하고, 울산은 자동차의 도시답게 소비가 많을 것이라 생각해 들렀는데, 30만 원을 부르더라. 그것도 휠 얼라인먼트 포함해서!!!!!!! 바로 콜!!!! 했는데 나중에 넥센으로 타이어 맞춰야 할 것 같다면서 1만 8천 원을 더 부르더라... 30만 원은 가장 저렴한 타이어라고 했는데, 넥센이 가장 저렴하지 않나...? 금호,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