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돼지국밥인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먹는중] 또 가본 광안리 '극동돼지국밥'인데...어?!

이미지
사실 광안리에서 술 마실 일, 밥 먹을 일은 많아도 밥 먹을 일은 그닥 없는 듯.. 그래서인지 광안리 해수욕장 주변에 술집, 카페, 오피스텔은 많아도 밥집은 거의 없는 것 같다. 있어도 뒷골목? 후미진 곳에 있고, 그곳들도 저녁이면 술집으로 변하는 해변 맛집... 그래서 또 가봤다. 여기를 들를 수 밖에 없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는데, 지하철을 타고 광안리를 오면 '광안역'에서 내리는 것보다 '금련산역'에서 내리는게 더 가깝다. 아는 사람은 알고, 모르는 사람은 모르는 비밀. 광안역에서 내리면 광안리 해수욕장 가운데라서 어디로 가야할지 갈팡질팡 하지만, 금련산역은 사이드쪽이라 해변을 따라 쭉 걸어가며 뷰를 즐길 수도 있다. 아무튼 금련산역으로 다시 지하철을 타러 가는 길에 이 돼지국밥집을 들어갈 수 있다. 광안대교 한쪽 뷰를 보며 돼지국밥을 기다리는 중인데.. 글로 쓰니까 광안대교와 돼지국밥이 어울리지 않아서 어이없는 웃음이.. ㅎㅎㅎㅎㅎ 밑반찬은 전에 왔을 때처럼 단촐하다. 역시 부추는 주지 않는다... 그래서 셀프바에 가지러 감. 셀프바에 가면 부추랑 고추 잘게 썰어놓은 것도 가져올 수 있다. 기다리는 동안 찍은 가격표. 작년 9월에 왔을 때랑 비교하면 가격은 똑같았다. 그런데 나온 국밥의 상태가 좀... 전엔 밥이 말아져 있어서 그랬나? 어째 양이 좀 줄어든 것 같다... 전에 먹었을 때랑 비교하면 긴가민가한데, 1만 원 치고는 고기 양이... 음.... 사실 그도 그럴 것이 그저께 시장에서 돼지국밥을 먹었는데, 그 시장표 8천 원 짜리 고기 양과 비교하니 차이가 좀 많이 나는 듯... 밥을 마니까 어째 전에 사진보다 고기양이 더 적어보이냐.... 그래도 간이 딱 맞게 돼 있고, 맑은 국물만큼이나 깔끔한 맛이어서 맛나게 먹었음. 네이버 리뷰 하면 1,000원 할인해준다길래 얼른 쓰고 9,000원에 먹음. 광안리에서 국밥 9천 원이면 괜찮은 것 같기도? 덧. 하지만 슈링크플레이션이라는 말이 떠오르는건 왜일까...

[오늘은 먹는중] 광안리 해변을 감상하며 먹는 돼지국밥 '극동돼지국밥'

이미지
내 부산 사랑이야 뭐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다들 알거고, 울산에 온 요즘도 종종 부산에서 시간을 보내다 버스를 타고 돌아온다. 부산에 있을 때 못봤던 국밥집이 하나 생겼는데, 때마침 저녁도 됐고 해서 들어가봤다. (찾아보니 내가 부산을 떠났던 해에 생긴 듯) 나는 창문을 등지고 앉아서 바닷가를 보진 않았지만(둘이 간 건 아니다. 혼자갔다.) 창문 쪽을 바라보며 앉으면 국밥을 먹으며 바닷가를 볼 수 있을 듯 했다. 하지만 굳이 뭐 밥 먹는데 바닷가 풍경이 중요할까 싶다. 주방은 오픈형이어서 안에서 조리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직접 토렴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 같기도 했지만, 나는 그런 것을 일일이 확인할 정도로 부지런하진 않더라... 뭐 요즘 어딜가든 국밥이 9천 원 하는 시대인데, 자릿세 생각하면 1만 원이면 혜자스러운 가격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그런데 언제부터 국밥이 1만 원이나 받는 음식이 됐는지... "그 돈이면 뜨끈한 국밥 한 그릇 사먹고 말지~" 라는 유행어는 이제 옛말이 된 것 같다. 이제는 맥도날드하고 비교해야 할 듯... 내 취향은 따로국밥이지만,  이 집은 토렴을 주력으로 하는 국밥집이라고 해서  그냥 돼지국밥을 시켜봤다. 기본적인 상차림인데,  뭐 단촐하면서도 나쁘지 않은 듯? 그런데 뭐가 빠진거 같았는데, 부추가 없더라.... 거의다 먹고 나서 뒤에 셀프바에서 반찬 가지러 가니까 그제서야 부추 발견함..  하... 고기랑 밥이랑 같이 있다보니까 많은건지 적은건지 감은 안잡혔는데, 얼핏 봤을 땐 고기가 많아서 푸짐하다는 생각이 들더라. 1만 원 치고는 정말 괜찮은 듯? 이게 다대기(다진 양념)인데 되게 특이했다. 보통은 고추가루랑 여러가지를 섞는데,  이 집은 파를 무쳐서 다진 양념을 만들더라. 아무래도 파를 무친 양념이다 보니 진득하진 않다. 나중에 셀프바에서 부추 발견하고 넣었는데, 이미 많이 식어서 그런지 부추 숨이 죽질 않더라... 아직 덜익은 부서진 면발 먹는 느낌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