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공부중] 구글 애널리틱스 2일차

그동안 올려야지 올려야지 하고서는 못올렸다.
이제부터 하나씩 정리하면서 GAIQ도 따고, 내 자신의 가치 좀 올려봐야지.

참고로 말하자면 중간에 평가점수를 80점 이상 취득하지 못하면 수료 인증서를 받을 수 없다.
귀를 열고 눈을 크게 뜨고 잘 듣자.

첫 시간이었던 만큼 가장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었다.
구글 애널리틱스가 어떤 용도로 활용되는지,
또 작동방식은 어떻게 되는지를 배울 수 있었다.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알겠지만,
구글 애널리틱스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 어떤 액션을 취해 어느 행동까지 도달했는지를 분석하는 도구이다.

물론 구글 애널리틱스가 만능은 아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쓴다고 해서 방문자가 급증하거나, 판매량이 급증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한 마디로
"데이터를 분석해 조금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만드는 도구" 라는 것.
그러니까 개개인의 데이터 분석 능력과 대응력은 스스로 키워야 한다.

프로그래밍을 조금은 할 줄 알면 좋다.

요즘은 홈페이지가 워낙에 다 잘 돼있기 때문에 굳이 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홈페이지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일일이 프로그래머를 호출할 수도 없고,
유지보수팀이 24시간 상주할 수도 없는 노릇이니
내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은 스스로 키우자.

구글 애널리틱스로 수집할 수 있는 정보는
브라우저 설정 언어와 유형, 접속 기기와 운영체제 등이다.

이러한 정보들로 내 홈페이지를
어느 국가에서 많이 접속하는지,
모바일 유저에게 인기가 있는지, 데스크탑 유저에게 인기가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리눅스 등 운영체제도 분석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윈도우 유저가 많고, 맥OS는 피치못할 사정으로 이용하는 사람보다는 "그냥 사과 제품이 좋아서"라는 이유로 쓰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의미는 없는 것 같다.

구글 애널리틱스로 무제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은 아닌데 세션을 종료하는 때는 "사용자가 방문한 뒤 30분 이상 아무 활동이 없거나 브라우저 창을 닫을 때"이다.

또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돼 변경할 수 없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계정 > 속성 > 보기 순으로 계층구조가 이뤄져있다.

계층구조에서 '수정'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자동으로 수정 권한을 갖게 되는 경우는 속성보기 계층이다.
사용자와 제품 계층에서는 '수정'권한을 갖지 못한다.

또 속성의 애널리틱스 추적코드를 찾을 때는 관리에서 추적 정보 탭을 누른 뒤 추적 코드를 누르면 찾을 수 있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는 추적 코드를 웹사이트 HTML에 추가해야 하는데,
<head> 태그 바로 뒤에 넣는게 좋다.

새 보기를 만들면, 보기가 만들어지기 전의 데이터를 포함해서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보기가 만들어진 이후의 데이터만 보여주기 때문에 어느정도 계획을 짜 놓는게 좋다.

계정 관리자가 삭제된 보기를 복구할 수 있는 기간은 35일이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데이터 필터링은 사실상 모두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데이터 포함, 제외는 물론, 표시방식도 수정할 수 있다.

다만 필터를 사용할 때 필터링 하지 않은 보기를 하나 갖고 있어야, 원래 데이터에 항상 접근할 수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순서는 필터가 적용된 순서대로이다.

필터가 보기에 적용되면 필터가 만들어진 후의 데이터는 모두 필터의 영향을 받는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