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공부중] 구글 애널리틱스 2일차

그동안 올려야지 올려야지 하고서는 못올렸다.
이제부터 하나씩 정리하면서 GAIQ도 따고, 내 자신의 가치 좀 올려봐야지.

참고로 말하자면 중간에 평가점수를 80점 이상 취득하지 못하면 수료 인증서를 받을 수 없다.
귀를 열고 눈을 크게 뜨고 잘 듣자.

첫 시간이었던 만큼 가장 기초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었다.
구글 애널리틱스가 어떤 용도로 활용되는지,
또 작동방식은 어떻게 되는지를 배울 수 있었다.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알겠지만,
구글 애널리틱스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 어떤 액션을 취해 어느 행동까지 도달했는지를 분석하는 도구이다.

물론 구글 애널리틱스가 만능은 아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쓴다고 해서 방문자가 급증하거나, 판매량이 급증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한 마디로
"데이터를 분석해 조금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만드는 도구" 라는 것.
그러니까 개개인의 데이터 분석 능력과 대응력은 스스로 키워야 한다.

프로그래밍을 조금은 할 줄 알면 좋다.

요즘은 홈페이지가 워낙에 다 잘 돼있기 때문에 굳이 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홈페이지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일일이 프로그래머를 호출할 수도 없고,
유지보수팀이 24시간 상주할 수도 없는 노릇이니
내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은 스스로 키우자.

구글 애널리틱스로 수집할 수 있는 정보는
브라우저 설정 언어와 유형, 접속 기기와 운영체제 등이다.

이러한 정보들로 내 홈페이지를
어느 국가에서 많이 접속하는지,
모바일 유저에게 인기가 있는지, 데스크탑 유저에게 인기가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리눅스 등 운영체제도 분석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윈도우 유저가 많고, 맥OS는 피치못할 사정으로 이용하는 사람보다는 "그냥 사과 제품이 좋아서"라는 이유로 쓰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의미는 없는 것 같다.

구글 애널리틱스로 무제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은 아닌데 세션을 종료하는 때는 "사용자가 방문한 뒤 30분 이상 아무 활동이 없거나 브라우저 창을 닫을 때"이다.

또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돼 변경할 수 없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계정 > 속성 > 보기 순으로 계층구조가 이뤄져있다.

계층구조에서 '수정'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자동으로 수정 권한을 갖게 되는 경우는 속성보기 계층이다.
사용자와 제품 계층에서는 '수정'권한을 갖지 못한다.

또 속성의 애널리틱스 추적코드를 찾을 때는 관리에서 추적 정보 탭을 누른 뒤 추적 코드를 누르면 찾을 수 있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는 추적 코드를 웹사이트 HTML에 추가해야 하는데,
<head> 태그 바로 뒤에 넣는게 좋다.

새 보기를 만들면, 보기가 만들어지기 전의 데이터를 포함해서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보기가 만들어진 이후의 데이터만 보여주기 때문에 어느정도 계획을 짜 놓는게 좋다.

계정 관리자가 삭제된 보기를 복구할 수 있는 기간은 35일이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데이터 필터링은 사실상 모두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데이터 포함, 제외는 물론, 표시방식도 수정할 수 있다.

다만 필터를 사용할 때 필터링 하지 않은 보기를 하나 갖고 있어야, 원래 데이터에 항상 접근할 수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순서는 필터가 적용된 순서대로이다.

필터가 보기에 적용되면 필터가 만들어진 후의 데이터는 모두 필터의 영향을 받는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