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공부중] macOS에서 Podman을 실행해보자 - 2편

설치만 했다고 내가 원하는대로 작동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프로그램이 없듯, Podman도 설치만 했다고 가상머신이 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다행히 설치 과정에서 Podman을 시험삼아 가동할 수 있는 스크립트가 있는데, 아주 심플하다.

podman machine init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Podman을 실행시키기 위한 코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



특이하다면 데비안 코어를 사용했던 도커와 달리, Podman은 페도라 코어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Podman이 레드헷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같은 레드헷에서 만든 페도라를 사용하는 것 같다.

다만, 페도라는 레드헷의 유료 리눅스인 RHEL의 베타버전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라고 하기에는 살짝 의구심이 들기는 한다.



초기화가 끝났다면 머신을 실행시켜주면 된다.

podman machine start

머신을 실행시키는 명령어는 끝에 start만 입력해주면 된다.


아직까지 특별히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큰 변화는 체감되지 않는다.

쉽게 설명을 하자면 지금은 가상머신을 구동하기 위한 기반,
즉, 땅을 산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제 여기에 무엇을 지을지, 어떻게 지을 것인지는 사용자 역량에 달려있다.


다음 글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