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공부중] mariadb 설치하기

일전에 말했던 yum으로도 mariadb는 설치할 수 있지만, 버전이 5.5로 매우 낮다.
2021년 4월 5일 기준으로 나온 mariadb의 버전은 10.5.9이다.
그동안 보안 업데이트나 여러 기술들이 추가됐기 때문에 최신 버전으로의 설치는 중요하다.
다만, 호환성 이슈가 있을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앞서 nginx를 설치했던 것처럼 vi로 repo 파일을 작성해야 한다.
cd /
cd etc
cd yum.repos.d

를 눌러 /etc/yum.repos.d/ 로 이동한다.


cd /etc/yum.repos.d/ 로 한번에 이동할 수도 있지만, 간혹 스펠링이 틀려 이동하지 못하면 일일이 체크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더라도 이렇게 이동하고 있다.

vi mariadb.repo

를 눌러 설치 환경설정을 한다.
[i]를 눌러 입력모드로 전환한 뒤,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mariadb]
name=mariadb
baseurl = http://yum.mariadb.org/10.5/centos7-amd64
gpgkey=https://yum.mariadb.org/RPM-GPG-KEY-MariaDB
gpgcheck=1

이 입력문은 하단에 있는 리포지터리 설정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빨간색 글씨로 표기한 곳이 mariaDB의 버전이다.
향후 업데이트가 된다면 저 부분의 숫자만 수정해주면 된다.


[:wq]를 입력해 vi 에디터를 빠져나온 뒤

yum install MariaDB-server galera-4 MariaDB-client MariaDB-shared MariaDB-backup MariaDB-common

을 입력해 설치를 한다.
위에 적힌 것을 모두 설치하면 어지간한 mariadb 툴은 모두 설치가 된다.


mariadb는 실행을 한 뒤, DB에 접속하면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systemctl start mariadb
mysql

을 입력하면 상단에 mariadb 버전이 10.5.9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래대로라면 mysql -u root -p 를 입력한 뒤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DB에 접근할 수 있지만, 현재는 root 계정으로 접속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절차가 생략됐다.

exit

를 눌러 바깥으로 빠져나온 뒤

systemctl enable mariadb

를 입력해 부팅 때마다 실행이 되도록 설정을 해주자.

mysql의 root 비밀번회를 설정해주자.

mysql_secure_installation

을 입력하면 mysql 암호 설정이 진행된다.

현재 비번을 묻는 질문에는 아무런 암호가 설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엔터를 치면 된다.
두 번째도 엔터를 치면 기본 값으로 설정이 된다.
세 번째 질문에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질문이 나온다. y를 눌러 비밀번호를 설정해주자.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에는 익명 계정을 삭제할 지 물어본다. 잘 모르겠다면 엔터를 치면 된다.
원격에서 root계정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것인지 묻는다. 보안을 높이고 싶다면 y를 치고, 아니라면 엔터를 누르면 된다.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할 것인지 물어본다. 이것도 그냥 엔터를 누르면 된다.



만약 되지 않는다면

mysqladmin -uroot -p현재패스워드 password '새로운패스워드'

를 입력해 root의 비밀번호를 설정하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