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에서는 엄청난 수익을 올리고 있다. 광고에 광고메시지, 선물하기 기능을 통한 수수료, 그 선물을 환불하기 위해 받는 수수료, 데이터 저장을 위한 월 구독제, 이모티콘 월 구독제 등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수익을 내기 위해 이번 업데이트를 되돌리지 않고 있다고 밖에 생각이 되지 않는다.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 장난질에 국감장까지 불려나갔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가만히 두는 것은 그만큼 카카오에 돈을 벌어다줬거나, 아니면 그의 정치질에 정작 우 부사장이 바지부사장이 된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든다.
참으로 슬픈건 홍민택 CPO 장난질을 그냥 두고 봐야 한다는 점이다. 많은 관공서가 기자들과 소통할 때 카카오톡을 이용해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업무지시도 카카오톡으로 하는 등 많은 사람들이 카카오톡에 의존해 업무를 본다. 탈카카오톡을 하고 싶음에도, 업무에 이용되기 때문에 떠나지 못하는.. 그러기에 카카오, 홍민택의 패악질을 지켜봐야 하는.. 결국 유저들의 반발은 언젠간 사라지고, 유저에겐 불편함을, 카카오에게는 막대한 수익만 남는 현실이 아쉬울 따름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