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질리게 한다는 것

최근에 운전 중 시비가 붙어 폭행을 당해 경찰에 신고를 했다. 앞서 경찰이 합의 의사가 있냐는 말에 "없다"라고 답했고, 오늘 조사를 받으러 갔는데 "공공기관 근무자라 사건통보대상이다"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잘못한 것이 없는데다 경찰도 내가 상대로부터 많이 맞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사건 처리에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았지만, 우선 '통보'라는 것 자체가 사람을 굉장히 피곤하게 만들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상대방에게 합의 의사가 있는지를 물어보고 사안을 처리하기로 했다. 공공기관 근무자가 직무와 관련해 형사사건에 연루됐을 경우 관련 사안을 기관에 통보하도록 돼 있다. 나 같은 경우는 직무와 관련된 사건도 아니고, 사건의 피해자(상대방은 쌍방폭행이라고 주장하고 있다)이다. 그러나 경찰 입장에서는 일단 통보해 화근을 없애는 것이 맞다고 본 것인지 통보 의무 대상이라고 인지하고 있는 것 같았다. 공공기관에서는 아니지만, 이런 일을 과거에도 겪어봤던 사람으로써, 내 개인적인 법적 송사가 외부에 알려졌을 때 상당히 피곤해진다. 회사에서는 무슨 일인지 알아보기 위해 사유서를 써야 하고, 이야기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와전되기까지 한다. 이렇게 해서 일이 끝난다고 해도, 사람들의 이야기는 끝나지 않기 때문에 꼬리표를 감춰도 언제, 어디서든, 갑자기 나타날 수 있다. 피해를 당하고도, 내가 피해자임을 알리기 위해 계속해서 설명해야 하는 그 상황이 사람을 지치게 만든다. 사건과 관련한 여러가지 제약을 만들고, 당사자들이 끊임없이 증명해야 하는 질리는 상황들은 복잡한 수사로 들어가기 전 최대한 합의로 유도하려는 일종의 수단 또는 방법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공부중] 홈브루(Homebrew) 설치 / 삭제 등 기본적인 명령어

홈브루는 기본적으로 CLI(command-line interface) 인터페이스이다. 

일반적으로 맥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는 마우스로 아이콘을 드래그앤드롭 해서 복사를 하면 설치를 하지만, CLI 인터페이스는 키보드로 명령어를 일일이 입력해 설치하는 것이다.

홈브루를 이용할 때 기본적으로 숙지해야 할 명령어 몇 가지를 정리해봤다.

  1. 설치프로그램 찾기


    패키지 매니저 프로그램을 이용해 설치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해당 프로그램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설치프로그램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은 

    brew search [프로그램명]

    을 치면 확인이 가능하다.

    위에서는 웹브라우저인 chrome을 설치하기 위해 

    brew search chrome

    을 검색해봤고, chrome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값 중 google-chrome이 우리가 찾는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2. 프로그램 설치


    프로그램 설치 방법은 

    brew install [설치 프로그램 이름]

    을 입력하면 설치가 곧바로 실행된다.

    크롬브라우저를 설치하기 위해선 

    brew install google-chrome

    을 입력하면 된다

    설치가 끝난 뒤 응용프로그램에 가보면 


    이렇게 브라우저가 설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3.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을 확인하는 방법은 

    brew list

    를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다.

    이 맥에는 podman-desktop과 google-chrome 두 가지만 설치를 했지만, 목록에는 여러가지가 나오고 있다. 

    이건 프로그램이 설치시에 필요한 몇가지 프로그램을 함께 설치했기 때문인데, 이를 '종속성'이라고 한다.

    아래에 Casks라고 쓰여져 있는 것은 GUI 프로그램. 우리가 명령어로 실행하는 것이 아닌, 마우스로 아이콘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하는 응용프로그램들을 Casks로 별도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4. 프로그램 삭제


    우리가 홈브루를 사용하는 이유는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다.

    홈브루에서 프로그램을 제거하는 방법은

    brew uninstall [제거할 프로그램 이름]

    이다.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말끔하게 프로그램을 제거할 수 있다.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나중에 가면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파일을 내려받고, 실행한 뒤 설치하는 것보다 명령어 한 번 입력한 것으로 설치하는 것이 더 편하게 느껴지게 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