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생각중] 국산을 애용하자고 하기 전에 품질을 생각하자

얼마 전 구매한 초소형 전기차에 블랙박스를 설치했다. 국산 중에서도 나름 고가이기도 하고, 블랙박스라는 것이 잘 보이기만 하면 될 것이라 생각해 설치를 했던 것이다. 그런데 대구로 이사오고 나서 차선 변경이나 신호위반 등 난폭운전을 빈번하게 하는 사례를 보았고, 한 번은 사고가 날 뻔 했기 때문에 신고를 하려고 굳이굳이 블랙박스에서 메모리카드를 분리해 영상을 확인해봤다. 그러나 녹화된 영상 속 화질은 너무나 처참했다. 가까이 있는 차량의 번호판 중 한글은 구분이 힘들었기 때문에 신고하기를 포기했다. 국산 블랙박스를 이용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신고를 하려다가 이런 경험으로 포기한 사람이 나 뿐만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슷한 거리에서 찍힌 블랙박스 확대본. 국산은 글자가 뭉개져서 잘보이지 않지만, 중국산은 잘 보인다.



또다른 차량에 달려있는 중국산 블랙박스는 국산 블랙박스의 절반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기능이 모두 들어가있다. 무선 접속을 포함해 GPS까지 포함한 가격은 18만 원, 후방 카메라를 포함시키면 20만 원 중반대지만, 국산블랙박스 본체가 35만 원이고, 와이파이 동글이나 GPS를 별도 구매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질로 보나, 가격으로 보나 중국산이 더 낫다.

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 어려웠을 때 우리 물건을 애용하자는 국산장려운동을 펼친 적이 있다. 품질이 떨어지는 물건을 단지 '국산'이라는 이유로 쓴다거나, 더 비싼 돈을 지불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블랙박스도 AS를 이유로 국산이 더 좋다고 홍보를 하지만, 사실 그 AS라는 것도 보면 수리해서 보내주는 것이 아닌 동급의 제품으로 교환을 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중국 물건이나 다름이 없고, 실제로 중국에서 조립해 오는 물건도 적지 않기 때문에 이걸 진정한 국산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은 든다.

얼마전 알리익스프레스가 조건부로 지마켓을 조건부로 인수한다는 소식을 접했다. 한때 국내 온라인쇼핑몰 최강자 중 한 곳이었던 지마켓이 중국 자본에 넘어간 것이다. 공정위는 알리익스프레스가 국내 시장 점유율 업체 1위라고 소개를 했는데, 그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누군가는 "'테무산', '알리산'은 못믿는다"라며 국산을 이용하라고 입소문을 퍼뜨리고 있지만, 국내에서 한 번 구매할 비용으로, 중국에서 5번 구매할 수 있다면 대부분이 후자를 시도할 것이다. 소비자들은 더이상 바보가 아니다. "국산을 애용하자"라고 말하기 전에 국산의 품질부터 높이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