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생각중] 자영업 하는 집의 아이는 가난한 집 아이를 따라갈 수 없다

뇌를 거치지 않은 저의 생각을 쓰는 곳입니다.


사람들은 우리 집이 잘 사는 줄 안다. 하지만 이렇게 살 수 있던 이유는 부모님이 고생을 많이 하셨기 때문이다. 남들이 잘 시간에 일어나 일을 하시고, 남들이 일할 시간에도 일어나 일을 하셨다. 그런 생활을 오래 하셨기에 풍족하진 않더라도 부족함이 없이는 자랄 수 있던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지금도 부모님은 자영업을 하시며 일을 하고 계신다. 직장에 다니시는 다른 집 부모님들은 퇴직을 준비하거나, 퇴직을 하신 상황이지만, 자식에게 손 벌리고 살지 않기 위해 지금도 일을 하시는 모습을 보면 죄스럽고, 감사한 마음이다. 부모님을 도와드리겠다며 시골에서 일을 하고 있는 동생에게도 미안한 마음이 든다.

그런 동생을 보면서 요즘은 이런 생각이 든다. 우리 집이 처음부터 자영업을 했더라면 지금쯤 어떻게 됐을까. 장사가 아주 잘된다면 나도 지금의 직업이 아닌 다른 직업을 택했을 수도 있다. 장사가 아예 안된다면 공부를 열심히 하든(아마 이럴 일은 없었을 것 같다), 부모님을 도와드리든 했을 것이다. 하지만 애매하게 장사가 되는 집이라면 나는 무엇을 하고 있을 지 의문이 간다. 그도 그럴 것이 아예 못사는 집이라면 정부로부터의 지원이라도 받을 수 있겠지만, 애매하게 장사가 된다면 이런 정부 지원에서 빠질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교육청에서 저소득 가구 지원대상은 소득·재산조사 결과가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경우이다. 4인 가족을 기준으로 대략 230만 원이다. 그런데 자영업자는 영업을 하기 위해 재료도 사야 하고, 공과금도 내야하고, 월세도 내야 한다. 이 모든  

가령 식당을 하는 가족이 있다고 하자. 하루에 10만 원씩 팔아 30일을 일을 했다고 하면 3백만 원의 소득이 잡힐 것이다. 하지만 반찬을 만들기 위해 재료를 사고, 월세를 내고, 공과금을 내고, 카드 가맹비와 수수료도 내야 한다. 하루 10만 원씩 팔아 30일을 일했다고 한다면, 3백만 원을 벌었을 것이다. 하지만 재료값과 가스비, 전기비, 월세 등을 다 빼야 순수 내 손에 쥘 수 있는 돈이 되고, 경우에 따라선 그 돈이 2백만 원 경계선을 왔다갔다 할 것이다. 2020년 최저월급이 179만5천 원 정도인데, 한달 내내 쉬지도 못하고 번 금액이 그 정도라는 것이다. 하지만 소득은 3백만 원으로

그렇다면 가정해보자. 한 4인 가족이 있다. 저소득 누군가의 몸이 아프거나, 일손이 모자르는 경우 아르바이트를 써야 할 때,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결국 가족 구성원 중 누구 하나가 희생을 해야 한다. 부모 모두가 가게에 투입이 된 상황이라면 그 가족의 자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