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생각중] 클라우드에 빠진 앱 업체들..비용 절감은↑·위기대처는 ↓

웹사이트에 공간을 만들어 콘텐츠를 공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비를 '서버'라고 부른다. 어떤 PC든 서버로 만들 수는 있지만 효율성 측면에서는 떨어진다. 요즘같은 여름에는 열에 취약한 서버가 더위를 먹어 뻗기라도 할까봐, 에어컨을 빵빵하게 틀어줘야 한다. 저장장치가 고장나면 데이터가 날아간다. 정보가 사라진 것도 속이 쓰린데, 장비까지 내 돈을 들여 교체해야 한다. 해킹 사고에도 취약하고, 정전이 되거나, 인터넷 서비스 장애가 일어나면 속이 끓는다. 여기에 SKB, KT, U plus 같은 통신사가 계약 위반이라며 인터넷을 끊기라도 하는 날에는 눈 앞이 깜깜해진다. 

이럴 때 이용하는 것이 바로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노트북,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만 있으면 언제 어디에서 뭘 하든 내 데이터에 접근할 수가 있다. 과거에는 하도급 형태로 웹호스팅 업체나 서버호스팅 업체가 있었는데, 기술이 발전하면서 빅데이터 연산, 다중이용 서비스 같은 여러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번거로운 유지보수를 하지 않아도 되고 이를 위한 인력을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 주기적인 백업도 보장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소멸할 리스크도 적다. 클라우드 시장은 계속 커져 구글과 아마존 뿐만 아니라 이제는 네이버 등 국내기업들도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업과 개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하고 있다.

문제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에 정전이나 인터넷 장애가 생긴다면, 이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서비스가 모두 멈춰버린다. 오늘 새벽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이 멈춰섰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인 아마존 웹서비스에 장애가 생긴 탓이었다. 쿠팡 등 AWS를 이용하는 다른 사이트도 접속이 지연되거나 안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1시간 후에 장애는 해결됐지만, 가격이 실시간으로 변하는 가상화폐의 특성상 매각하지 못한 소비자들은 서비스 장애로 입은 손해에 분통을 터뜨렸다.

문제는 이런 피해를 입더라도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 보상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인터넷 서비스 지연 문제의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것이 인재인지, 어쩔 수 없는 현상인지부터 규명해야 한다. 이를 규명하더라도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사인 아마존에 책임을 물어야 하는지, 앱 서비스 제공사인 빗썸에 보상을 요구해야 하는지 원인제공자 특정과 과실비율 산정이 쉽지 않다. 법적 분쟁을 제기하더라도 그 기간과 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기 때문에 유야무야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소비자들 뿐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모든 것을 맡기다보니,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에 따른 위기 대처 능력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백업 서버를 만들어 위기에 대응할 방법이 있지만 앱 서비스 제공자들은 "그러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의미가 없다"고 말한다. 비용절감의 덫에 빠져 서비스 제공 여부를 크라우드 업체에 맡기기 것보다,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에도 사용자가 불편없이 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그것이 앱 서비스 업체의 최고 서비스 아닐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