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롤백과 개선방안도 구분 못하는 카카오 CPO

이미지
돈에 미쳤거나, 독불장군이거나. 최악의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내놓은 홍민택 카카오 CPO를 향해 하는 말이다. 어느쪽이든 듣기 좋은 소리는 아니다. 카카오톡이 일반대화와 오픈채팅을 구분했을 때에도 욕은 먹었지만, 이 정도는 아니었다. "그래. 기업도 돈은 벌어야 하니까"라는 생각으로 당시 분리를 겪었다면, 이번 개편은 "메신저의 기본을 포기했다"라고 밖에 여거지지 않는다. 더욱 황당한 것은 업데이트는 정말 쉽게 해놓고서, 롤백은 시간이 걸린다고 했다는 점이다. 롤백은 새로운 업데이트에 문제가 있을 때,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는 작업으로 시간이 걸릴 이유가 없다. 개발파일을 빌드해서 업데이트에 반영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3개월이 필요하다는 주장에는 두 가지 가설을 생각해볼 수 있다. 3개월 정도 시간이 지나면 사람들이 익숙해져서 업데이트를 수용할 것이라는 홍민택 CPO의 고집이거나, 어떻게든 숏폼 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라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유저의 의견을 전혀 듣지 않는 것이고, 후자의 수단은 개선방안이라고 하지, 롤백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그런 와중에 홍민택 CPO는 자신에 대한 비판 의견이 담긴 나무위키 측에 관련 내용을 삭제해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홍민택 CPO는 나무위키 측에 본인에 대한 의견은 모두 허위사실이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그러나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올라온 글을 보면, 모두가 같은 말을 하고 있는데 본인만 다른 얘기를 하고 있는 것은 아는지 모르겠다. 롤백에는 수 개월이 걸린다고 하면서, 자신에 대한 비판 의견은 단 몇 일도 못참겠다는 것이 아닌가 싶다. 홍민택 CPO에게 물어보고 싶다. 좋은 대학과 좋은 이력을 가진 CPO가 용어에 대한 기본적인 뜻도 몰랐는지, 왜 본인에게 불리한 것은 회피를 하는지 말이다. 카카오에게도 묻고 싶다. 전 직장에서 물의를 일으킨 사람이 카카오의 미래를 만들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지 말이다. 할 말이 있다면...

[오늘은 공부중] RHEL(Redhat Linux)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


RHEL, RedHat Enterprize Linux는 가장 성공한 유료리눅스로 알려져있다. 검증된 디지털저장소(레포지터리)를 운영하고, 철저한 유지보수를 통해 강력한 보안성을 자랑하지만 단점이 있다면 일단 모든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너무 비싸다는 것이다. 1년 구독을 기준으로 100만 원이 넘어가니 개인 이용자는 고려 대상도 아니고, 중소기업 입장에서도 그닥.. 메리트가 있지는 않다. 예전에는 여기서 유지보수 기능만 뺀 CentOS가 있기는 하지만, Redhat의 정책 변화로 Fedora와 같은 테스트 제품이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Ubuntu와 같은 다른 리눅스 운영체계로 넘어갔다.


이탈이 많아지면서 Redhat도 나름 차선책으로 내놓은 것이 RHEL의 무료 버전을 배포한다. 조건은 개인 개발자로 소규모 워크로드도 가능하다고는 하다. 최대 16개 시스템까지 등록할 수 있으며, 기술지원은 받을 수 없다. 요약하자면 CentOS에 제약을 걸어서 배포하는 것이다.

RHEL의 무료 버전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물론 CentOS 시절과 비교하면 장단점이 있다. RHEL의 모든 기능을 온전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CentOS처럼 개방돼 있지는 않아서 순정상태로는 최신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서드파티 레포지터리를 이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보안성을 보자면 살짝 찝찝한 감이 없지 않다. 그렇다고 검증된 레포지터리에 등록된 유틸리티만 이용하기엔 유틸리티 업데이트 지원기간을 넘긴 경우가 많고, 기간이 꽤 오래됐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한 경우도 많다.

요약하자면 보안때문에 RHEL을 선택한다는 것은 어리석은 선택일수도 있다. 물론 여전히 RHEL이 강한 보안성을 보여주고 있긴 하지만, 레포지터리 지원 등을 고려한다면 다른 리눅스와 비등한 수준이다. 지원이 중단된 CentOS를 쓰는 곳이 적지 않기 때문에 배운다는 입장에서 본다면 나쁜 선택은 아니지만, 많은 기업이 Ubuntu로 넘어간 점을 생각한다면 이젠 그 효과도 딱히...?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