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사용중] 스위스 메일의 위엄? 프로톤 메일(ProtonMail) 실사용 후기

카카오톡으로 보내기는 좀 불안한 기업 정보문서나 계약서 같은 것들은 보통 메일로 많이 보내죠?

그런데 이 민감한 정보들도 이메일도 가로채기 수법으로 빼낼 수 있어요.

누가 내 메일을 보겠어? 라고 하겠지만, 마음만 먹으면 뭘 못하겠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이메일도 보안메일로 보내는 기업들이 많은데요.

그럼 저희는 그냥 보내야 하나요...? 하는 분들에게 소개해드리고 싶은 서비스가 바로 프로톤 메일입니다!


확실히 네이버나 다음 같이 쓰기 편한 메일은 아닙니다.

무료 계정은 하루 150건의 메일 밖에 보내지 못하고, 용량도 1기가 밖에 되지 않죠.

하지만 네이버와 다른 점은 종단간 암호화가 된다는 점입니다.

중간에 누군가가 내 이메일을 가로채더라도 해석을 못하면 읽지 못한다는거죠.

그럼 다른 메일은 읽을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네... 대부분...?

종단간 암호화는 생각보다 복잡한데다 서버에 부하가 걸리는 기술입니다.

하루 수백, 수천건의 메일을 처리해야 하는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효율성을 중시해야 하기 때문에 암호화까지 감당하기란 쉽지가 않죠.



그래서 프로톤 메일도 유료 서비스가 있습니다.

가격은 비싼 편입니다. 24개월 약정을 해도 한 달에 만 원 이상은 지출해야 하죠.

하지만 뒤에서 서술할 VPN 서비스 등을 생각한다면 돈 값은 한다고 생각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로그인 하면 나오는 메일 대쉬보드 입니다.

일반 이메일 서비스와 크게 달라보이는 점은 없습니다.

암호화라는 것은 눈에 보이는게 아닌, 시스템 뒤에서 이뤄지는 백엔드 방식이니까요.

다만 상대방도 프로톤 메일을 써야 완벽하게 암호화 되는 것이고, 또 '암호화'라는 것을 너무 맹신해서도 안됩니다.

프랑스에서 기후활동가들이 프로톤 메일로 연락을 주고 받았는데,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서 경찰이 활동가들을 압박한 적이 있으니까요.

역시 가장 좋은 것은 만나서 얘기하는게...


바로 옆을 보면 연락처를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는 버튼도 있네요.

구글 지메일(Gmail) 서비스랑 크게 다른 점은 없어보여요.


상단에 바둑판 버튼을 누르면 Proton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서비스 목록을 볼 수 있어요.



프로톤 캘린더는 구글 캘린더와 똑같은 역할을 하는 서비스인 것으로 보이네요.

큰 차별점은 없어 보입니다.


프로톤 드라이브도 구글 드라이브랑 유사한데요.

용량이 작은 대신에 민감한 정보를 올려도 일정 부분 안심이 되는 점은 있을 것 같아요.


VPN 서비스는 생소한 분들이 있을 텐데요.

쉽게 말하면 내가 미국에 있는 사람의 공유기를 이용해서, 미국에서 접속한 것처럼 인터넷을 쓴다는 겁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접근이 제한되는 홈페이지 접속을 위해 더러 쓰이는데요.

무료버전에서도 이용은 가능하지만 속도가 제한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종합을 해서 말씀드리면 보안을 중시하는 분들은 꼭 써보면 좋은 서비스입니다.

일단 IP 기록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실사용자 여부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고요.

프로톤 메일의 본사는 스위스에 있기 때문에 정부가 해당 이메일 계정에 대해 업체를 압수수색하려고 해도, 스위스 정부 당국의 허가 없이는 불가하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면 됩니다.

다만 보안 때문에 아웃룩이나 썬더버드 같은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가 없고, 전용앱만 사용해야 합니다.

보안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조치이긴 하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