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사용중] 집에서 인바디를? '인바디 H20' 내돈내산 후기

최근에 당근에서 로잉머신을 저렴하게 구매해서
열심히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로잉머신을 잠깐 했던 적이 있는데
그때 땀을 쭉 뺀 기억이 있고,
전신운동이라고 해서 효과가 뛰어난 것 같아 구매했는데요.

그런데 운동을 한 지 한 달 쯤 지났는데도
도저히 살이 빠지지 않는 겁니다.



뭐가 문제인가 싶어서 
인터넷을 뒤져봤더니,
부위마다 살을 뺄 수 있는 운동이 다르다고 하는데...

문제는 어떤 부위에
제가 뺄 살이 많은지를 모른다는 거예요 ㅠㅠ.....


인바디를 해보고는 싶은데
보건소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그거 한 번 하자고 헬스장을 등록하면..

기껏 산 로잉머신이 울 것 같은 느낌이었어요 ㅠㅠ

그런데 찾아보니
가정용 인바디가 있다고 해서 
덜컥 구매했습니다!!!


가격은 20만 4천 원...
체중계 치고는 가격이 너무 사악합니다.. ㅠㅠ

그래도 이걸로 좀 더 명확하게 살을 뺄 수 있다면야...


그럼 지금부터 
내돈내산 언박싱 들어갑니다!!!


일단 알아둬야 할게
H20이 있고, H20B가 있는데
이 두 버전은 기능상 차이점은 없고,
의료기기 인증 여부만 차이가 있다고 하네요.

그런데...
H20B는 이제 단종돼서 더이상 나오지 않는 듯...

기왕이면 의료기기 인증된 걸 사고 싶었는데 ㅠㅠ
중고마켓에서도 구하기가 쉽지 않더라구요 ㅠㅠ


상자를 뜯으면
에어캡이 고이 감싸고 있는 본체와
사용설명서가 쑝하고 나옵니다 :3


그럼 본격적으로 살펴볼까요?
우선 바닥에는 인바디 측정을 할 수 있는 
금속 측정판 4개가 붙어 있고,
가운데에는 다이얼이 붙어있는데요.



이 가운데 버튼이 전원버튼이네요 :)


요즘 인바디 기능을 갖춘 체중계가 여럿 나오지만,
이 인바디 기계가 20만 원을 훌쩍 넘는 이유는 바로 이것!!

손잡이 때문인데요.

일반적인 체중계는 
바닥에 금속판으로만 측정하기 때문에
상체 부위는 키와 체중을 감안해서 
예상치를 뽑아내는 거라고 하네요.

반면 H20은 
저기 보이는 금속판에 엄지손가락을 가져다 대고
인바디를 측정하면,
미세한 전류가 흘러나오면서 
상하체 모두를 측정한다고 합니다.

헬스장이나 보건소에 있는 
인바디 기계와 오차율이 크게 없다고 하니 신기하네요.


건전지는 AA사이즈 4개가 들어갑니다.
일반 체중계가 수은전지를 쓰는걸 감안하면
전류를 꽤 많이 먹나봐요.


건전지를 꽂고,
가장 먼저 할 일은 
내 키를 설정하는 것이었습니다.

키를 모르면 정확한 측정값을 알 수 없겠죠 ㅠㅠ?

다행히 저는 얼마 전에 건강검진을 하면서
키를 측정했기 때문에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었네요.

다이얼을 돌릴 때마다 
키는 0.5cm 단위로 조절할 수 있었어요.


첫 측정값...
와.. 체지방률이 제가 엄청 높았군요 ㅠㅠ....

이게 뱃살인줄은 알았지만,
눈으로 보니까 너무 충격이네요 ㅠㅠ..

더 부지런히 살을 빼야겠어요 ㅠㅠ


이렇게 스마트폰 앱을 연동시키면 
기록도 할 수 있어서,
내가 어떤 운동을 해야 할지 감이 잡히더라구요.


저는 행사기간에 샀는데,
이렇게 단백질 쉐이크도 하나 보내줬습니다!

운동하시는 분들이 많이 드시던데,
저도 근손실 관리하며 부지런히 한 번 먹어볼께요!


인바디 체중계와 함께 
올 여름에는 어디가서 꿇리지 않는 몸매를 만들어봐야겠어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