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도 취재중] 뉴스통신사 3사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살펴보자!

기자로 근무하면서 여러 언론사의 다양한 환경을 겪었고, 
그 과정에서 느낀 것들을 하나 둘 적어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 대표 뉴스통신사는 세 곳이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뭐 다들 아실 것이고, 머니투데이 그룹에 속해있는 뉴스1과 뉴시스가 있죠.

연합뉴스는 '뉴스통신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뉴스통신진흥회'가 최대 주주로 있고, MBC와 KBS도 주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관련법도 있는데다가 국정감사도 받고, 사장도 정부 협의에 거쳐 선임되기 때문에 '공공기관'처럼 보이지만 엄연한 민영통신사입니다. 하지만 국가기간통신사인만큼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죠.

뉴스1과 뉴시스는 머투그룹은 명실상부 '민영통신사'이기 때문에 막강한 지원은 없습니다. 광고수입과 포럼 등을 유치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통신사의 근무 특성에다가 인력난도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 언론사 모두 VIP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한 번 살펴보려 합니다.


1. 연합프리미엄뉴스(https://www.premiumnews.co.kr)

최근 연합프리미엄뉴스가 개편됐습니다. 예전에는 모바일에서는 일부 기능이 제한됐는데, 이제는 프리미엄뉴스 기능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바꾼 것 같습니다. 예전에 유용하게 썼던 프리미엄뉴스 기능들이 비활성화 됐지만 말이죠.



UI는 대체로 깔끔한데, 속도가 좀 느립니다.(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입장에서 느리다는 겁니다) 개편한 이후로 더 심해졌는데 인덱싱에 시간이 걸려서 그런건지, 아니면 시스템 자체 문제인지.. 아무튼 느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언론사가 믿고 보는 연합이고, 소식도 빨리 올라옵니다.


2. 뉴시스 프라임뉴스(https://prime.newsis.com)

뉴시스는 '프라임뉴스'라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초기화면은 연합뉴스와 비슷합니다.



다만 페이지 자체에 스크립트 충돌이 있습니다. 그래서 같은 항목에서 새로고침을 눌렀는데, 설정값이 초기화되는 경우가 흔하디 흔합니다. 아예 페이지를 다르게 해놨으면 좀 괜찮았을 거 같은데….

연합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사진을 다운받지 못하지만, 뉴시스는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3. 뉴스1 커넥트(https://connect.news1.kr)

뉴스1은 '커넥트'라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원래 다른 이름이었던 거 같은데 바뀌었습니다. 초기화면에서 좌측 상단에 '기사'나 다른 메뉴를 눌러야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초기화면이 생긴게 좀 불편합니다.



여기도 스크립트 충돌은 있습니다. 다만 뉴시스와는 다르게 페이지로 나뉘어져 있어서 새로고침을 해도 내가 선택한 섹션이 바뀌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다른 통신사와는 달리, 기사를 문서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문서화하기는 좋겠죠.

다만 뉴스1은 지역뉴스에서 힘을 많이 못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역은 별개의 법인체로 운영되는 방식과 처우 등의 문제 때문이 아닐까 라고 추측은 됩니다.


전제계약을 맺은 언론사가 아니라면 통신사 기사를 함부로 우라까이 할 수 없습니다. 
저작권 관련해서 법적대응이 잘 이뤄지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개인 목적에다가 비영리적 목적이라 하더라도 저작자 허락 없이 가져다 쓰는 것은 '위법'인 만큼 조심하셔야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