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생각중] 미디어 혁신이 과연 올 수 있을까?

많은 언론사들이 '뉴미디어'를 표방한 인터넷 뉴스를 만들고 있다. 유튜브를 하고, 데이터 분석 뉴스를 만드는 등 뉴미디어 형태를 띤 기사를 쓰고 있다. 보수색이 강한 조선일보 조차도 얼마전 조선NS를 만들어 인터넷 이슈에 적극 대응중이다.

그 중에서 내가 즐겨보던 매체는 '오토포스트'라는 매체다. 자동차 전문 매체를 표방하며 각종 자동차 이슈를 유튜브를 통해 공개해왔다. 진행방식은 마치 JTBC 뉴스룸을 본딴 듯 했고, 일명 '현까(현대차를 까는)' 기사로 연명한다는 비판이 있긴 했지만, 미디어 스타트업이 광고를 받아야 할 거대 기업을 상대로 신랄하게 비판하는 기사를 쓰는건 이색적으로 다가왔다.

검색을 하다가 브라우저 검색창에 걸려 '오토포스트' 기사가 오랜만에 들어가봤다. 벤츠코리아가 출시하는 EQC에 관한 기사였는데, 주행거리가 200여 킬로미터 밖에 되지 않아 사람들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문득 "다른 언론사에서 본 기사들과 큰 차이가 없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사를 대조해봐도 기사의 전개 방식이나 문체가 과거의 언론사 기사와 비슷해보였다. 심지어 '귀추가 주목된다', '전망이 기대된다'와 같은 상투적인 마무리 멘트는 똑같았다.

언론사들은 뉴미디어 초창기에 인터렉티브 디자인을 적용한 차트를 인터넷 기사에 넣고는 혁신이라 말했다. 기사에 움직이는 간단한 도표 하나가 언론에서는 크나큰 도전이었을까, 아니면 그 변화가 받아들여지기가 어려웠을 만큼 언론은 보수적이었던 것일까. 10년 째 언론사들은 '뉴미디어'를 한다며 너도나도 인터넷 뉴스 시장에 뛰어들고 있지만, 정작 기억에 남을만한 '혁신'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문체부 등록 정기간행물 수는 2만 2천여개가 넘는다. 한 매체가 하나의 기사만 써도 읽어야 할 글이 2만 개가 넘는다는 뜻이다. 그 중에서 우리가 꼭 읽어야 할 기사의 수는 과연 얼마나 있을까? 과거의 기사는 한 기업을 위태롭게 하고, 세상을 바꿀 정도의 파급력을 지녔지만, 이제는 인플루언서의 주장보다 가벼워진 것 같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