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생각중] 미디어 혁신이 과연 올 수 있을까?

많은 언론사들이 '뉴미디어'를 표방한 인터넷 뉴스를 만들고 있다. 유튜브를 하고, 데이터 분석 뉴스를 만드는 등 뉴미디어 형태를 띤 기사를 쓰고 있다. 보수색이 강한 조선일보 조차도 얼마전 조선NS를 만들어 인터넷 이슈에 적극 대응중이다.

그 중에서 내가 즐겨보던 매체는 '오토포스트'라는 매체다. 자동차 전문 매체를 표방하며 각종 자동차 이슈를 유튜브를 통해 공개해왔다. 진행방식은 마치 JTBC 뉴스룸을 본딴 듯 했고, 일명 '현까(현대차를 까는)' 기사로 연명한다는 비판이 있긴 했지만, 미디어 스타트업이 광고를 받아야 할 거대 기업을 상대로 신랄하게 비판하는 기사를 쓰는건 이색적으로 다가왔다.

검색을 하다가 브라우저 검색창에 걸려 '오토포스트' 기사가 오랜만에 들어가봤다. 벤츠코리아가 출시하는 EQC에 관한 기사였는데, 주행거리가 200여 킬로미터 밖에 되지 않아 사람들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문득 "다른 언론사에서 본 기사들과 큰 차이가 없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사를 대조해봐도 기사의 전개 방식이나 문체가 과거의 언론사 기사와 비슷해보였다. 심지어 '귀추가 주목된다', '전망이 기대된다'와 같은 상투적인 마무리 멘트는 똑같았다.

언론사들은 뉴미디어 초창기에 인터렉티브 디자인을 적용한 차트를 인터넷 기사에 넣고는 혁신이라 말했다. 기사에 움직이는 간단한 도표 하나가 언론에서는 크나큰 도전이었을까, 아니면 그 변화가 받아들여지기가 어려웠을 만큼 언론은 보수적이었던 것일까. 10년 째 언론사들은 '뉴미디어'를 한다며 너도나도 인터넷 뉴스 시장에 뛰어들고 있지만, 정작 기억에 남을만한 '혁신'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문체부 등록 정기간행물 수는 2만 2천여개가 넘는다. 한 매체가 하나의 기사만 써도 읽어야 할 글이 2만 개가 넘는다는 뜻이다. 그 중에서 우리가 꼭 읽어야 할 기사의 수는 과연 얼마나 있을까? 과거의 기사는 한 기업을 위태롭게 하고, 세상을 바꿀 정도의 파급력을 지녔지만, 이제는 인플루언서의 주장보다 가벼워진 것 같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