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공부중] R 설치하기(윈도우 버전으로)

R 공부한 지는 꽤 됐는데...
귀차니즈밍으로 안올리다가 자잘자잘한 일들을 하나 둘 마무리 하면서 조금씩 올리려 합니다...
(아직 블로그 안에도 안끝난 일들이 많은데.... ㅠㅠㅠ)

설치하는 방법은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해서, 설치하면 끝!!!!!

이지만.. 이 설치도 생각보다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계시기에
설명충은 또 이걸 설명글을 남겨놔 봅니다 ㅎㅎㅎ

https://cran.r-project.org/

위에 홈페이지에 우선 접속해봅니다.
저기 표시해놓은 부분 보이시죠? 
저기서 본인의 OS에 맞는 R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저는 윈도우를 기준으로 설명해볼께요!!

저 링크를 클릭하면 다양한 버전의 R 패키지가 나와요.
여기서 가장 기본적인건 base!!!!
우리도 base로 설치를 해주자고요!!!

바로 다운로드가 될 줄 알았는데...

"아직 한 발 남았다..."

는 아니고 링크가 하나 더 나옵니다 ㅠㅠㅠ

여기서 알 수 있는건 5월 말 기준으로 R의 버전이 4.1.0이라는 거네요. ㅎㅎㅎㅎ
저기 Download R을 누르면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켜자마자 대뜸 언어부터 물어봅니다.
저는 한국어로 설치할거지만, 가능하다면 영어로 설치해주세요.
프로그래밍 자체가 아무래도 영어 기반으로 만들어지다보니 한국어로 하면 오류가 나거나, 꼬이기 쉽거든요 ㅠ

프로그래밍을 전문적으로 준비하려는 분들이라면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이거나, 안정성을 위해서라도 영어로 설치하는게 좋아요.
물론 영어도 조금씩 공부하는게 좋겠죠?

라이선스에 동의하냐는건데, 그냥 다음을 눌러줍시다.
원래대로라면 다 읽어봐야 하지만, 일단 영어고요...ㅎㅎㅎㅎ
저런거 읽다가 시간을 날리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고요 ㅠㅠㅎㅎ

다음은 설치 경로를 지정해줍니다.
제 모토가 'Simple is Best'입니다! ㅎㅎㅎ
디폴트 값으로 해주는게 좋겠죠?

최소 2.5MB의 디스크 공간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저 용량으로 R이 굴러갈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었는데.. 훼이크였군요 ㅋㅋㅋㅋㅋㅋ
코어와 32비트, 64비트, 언어팩 등을 설치하면 모두 209MB네요.

그래도 이정도면 다른 툴에 비해서 용량 적게 사용하는 것 같아요.
대부분이 기가바이트를 잡아먹는데 이정도면 뭐 So So 하네요.

스타트업 옵션이라는게 뭔지 몰라서 좀 헤맸는데...
이게 뭐냐면 윈도우 부팅 때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게 만들거냐고 묻는 거예요.
잘 모르면 기본값대로 설정해줍시다.

다음은 시작 메뉴 폴더를 만들 거냐고 묻네요.
그런데 이건 만들어줘도, 안만들어줘도 상관 없을 것 같아요.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마지막에...
 
마지막으로 추가 사항 옵션을 선택하는 합니다.
레지스트리에 버전정보를 저장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는거지? 라는 의문이 들어서 찾아봤는데..
답변이 없네요... ㅠㅠ
(아는 분은 댓글 좀 남겨주세요)

마지막에 'R을 .RData 파일들과 연결합니다'라는 항목이 있는데, 확장자를 연결해주는 것 같아요.
이게 매번 '열기'로 눌러서 들어가는게 귀찮기 때문에 확장자를 프로그램과 연결시켜주는게 좋은 것 같아요.

드디어 설치가 시작됐네요!!!!!
용량이 200메가로 크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설치는 금방 돼요 ㅎㅎㅎ

드디어 설치 완료!
실행을 해보면 

이렇게 콘솔창이 뜬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자! 그럼 제가 중간에 시작메뉴를 만들지 않아도 될 것 같다고 말씀 드린 이유를 설명드릴께요.
개발을 하다보니 대부분 R 프로그래밍은 vsCode나 파이참 같은 서드파티 프로그램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요.
저도 예전에는 "순수한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그래도 오리지날로 해야지!"라는 생각이었거든요?
그런데 서드파티 프로그램을 써보니까, 기본 패키지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편의기능을 많이 제공하고 있어서 좋더라고요.
하지만 서드파티 프로그램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대신, 꼬이기가 쉽기 때문에 R을 설치해두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