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결국 거짓, 결국 기만, 결국 카카오톡

카카오가 결국 유저들을 기만했다. 카카오 우영규 부사장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 "카카오톡 롤백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과연 기술적으로 어려운 것일까? 아마 우 부사장이 홍민택 CPO의 거짓부렁에 놀아났거나, '금융기술적'으로 손실을 감내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공범이 되려고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카카오톡 롤백 할 수 없는 이유. "이전 버전 어차피 들고 있을거 아니예요? 그럼 그냥 롤백하면 되는거 아니예요?" 카카오톡은 그냥 단순한 구조의 메시징 앱이 아니죠. MAU도 약 4,819만 명 되니까요. 이런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메시징 플랫폼에서는 롤백은 단순하지 않아요.. 오지게 욕을 먹은… https://t.co/spd1MQLpen — lucas (@lucas_flatwhite) October 14, 2025   인터넷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이유를 누군가 적어놨으나, 이 이유는 공학도의 입장에서 보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치부된다. 먼저 "메이저 업데이트이기 때문에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로 기록을 하고 있을 수 있다"라는 주장은 다르게 말하면 "이전 버전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용은 기록되지 않고 있다"라는 얘기와 같다. 현재 구버전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하고 있다. 프로토콜이 달라졌다면 구버전 카카오톡에서는 이전 프로토콜로 기록이 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가 가지 않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는 '카카오톡 구버전으로 돌리는 방법' 같은 팁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 인프라를 수정했기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도, 구버전 앱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다는 점. PC카톡, macOS 카카오톡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점 등을 본다면 서버 프레임워크가 구버전과 차이가 없다는 뜻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메신저 앱 중...

[오늘은 사용중] 요즘 그렇게 핫하다는 AI 면접을 봤습니다

최근에 언론사 공채가 많이 떠서 여기저기 서류를 넣고 있는데요.
모 방송사에서는 코로나19로 대면 공채가 어려워지면서 AI 기술을 접목한 공채를 진행하더라고요.
내일까지라서 오늘 잽싸게 끝내버리려고 해봤습니다...

우선 면접 본 것부터 말씀드리면...
횡설수설해서 뭔 소리했는지 모르겠고, 인적성검사는 방향 헷갈려서 망쳤어요... ㅠㅠㅠ

그러면 AI면접 본 느낌부터 말씀드릴께요.

내가 문제인 건가.. 대체 뭐가 문제인가..


예전에 안산시 일자리 센터에서 강의를 듣고 받은 AI면접 무료 체험권이 있어서 우선 그걸로 연습을 해봤습니다. 뷰*터라는 곳의 이용권을 받았는데, 회원가입을 하니 인터뷰 3번과 한 번에 질문 3개씩, 모두 6번의 모의 면접을 볼 수 있는 무료 체험권이 주어졌습니다. (쿠폰 왜 준거니??)

아무래도 처음하는 것이다보니 연습삼아 해봤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면접 준비가 부족하답니다 ㅠㅠㅠㅠ(아니 물론 부족한건 맞는거 같은데... ㅠㅠㅎㅎ)
그 와중에 합격 가능성은 58%네요... 세상에나...

무엇이 문제인가 해서 살펴보니...

저는 머리를 자꾸 움직이고 표정변화가 무표정하거나, 부정적이라고 하네요 ㅠㅠㅠㅎㅎㅎ
뭔가 억울하게 생겨서 부정적인건가....
그래서 머리를 움직이지 않아봤고, 웃으면서 해봤는데요....

마지막까지 기계는 제가 머리를 산만하게 움직인다고 진단을 했습니다....
웃으면서 했더니 저보고 무표정하데요... 여기서 더 웃으면 조증 아닌가...?

한 번도 저 테스트를 통과하질 못했네요...
도대체 어떻게 해야 머리를 안움직이는건지...
MRI촬영 할 때처럼 머리를 고정틀에다 넣고 있어야 100점을 맞출 수 있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아직은 샘플링이 덜 된 것 같은 그런 느낌인 듯...
방송사 면접에서는 다른 업체의 AI면접 방식을 적용하고 있어서 시험을 봤습니다. 다만 연습한 업체와는 다르게 이 업체는 결과를 알려주진 않더라고요. 그냥 대충 느낌만 말씀드려보면 기술의 발상은 좋은데 아직은 누적데이터가 많이 적은 느낌? 이었습니다.

얼마나 세상에 불만이 많으면 40%가 부정적인가... 

AI는 샘플링 데이터가 얼마나 쌓이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기술입니다. 과거 한 지상파 방송사에서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고 김광석 씨의 목소리로 <보고싶다>라는 노래를 만든 적이 있는데요. 고 김광석 씨의 목소리를 부활시키기 위해 수 백, 수 천번 반복학습을 시킨 후에야 제대로 된 결과물이 나올 수 있었습니다.

저도 AI를 공부하고 있지만, 어떤 점이 문제인지 디테일하게 알려주면 좋겠지만, 아직 그렇게까지는 코칭이 되지 않는 것 같았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샘플 데이터가 쌓이면 차차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아직은 사람의 개입이 더 많이 필요한 기술인 것 같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