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생각중] 돌아보는 중

예전에 한 선배가 "기자를 하고 싶냐"라고 묻자, 나는 "에이.. 제가요?"라고 답한 적이 있다.
겉으로 비춰지는 '기자'의 모습은 전문적이고, 날카로운 분석력을 지닌 것처럼 보였기에 내가 할 수 없는 직업이라고 여겼던 것 같다.
그렇게 보였기에 나는 그들을 조금이라도 닮고 싶어서 노력을 했었고, 그렇게 노력하다보니 하고 싶은게 생겼고, 그렇게 기자가 됐었다.


기자는 어찌보면 정말 비효율적인 직업이다. 쓸지 안쓸지 모르는 정보와 워딩을 꾸준히 수집하고, 혹시나 대형사건사고가 터질까 잠도 제대로 자지 못한다. 월급으로나마 보상을 받으면 그래도 나을텐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다. 신경써서 취재한게 전파를 타면 그 뿌듯함으로 자위하며 아등바등 기자의 끈을 놓지 않았던 건데, 직장을 그만두니 그것도 덧없더라. 

여러가지 직업이 있는데 왜 '기자'를 고집했는지 이제서야 돌아보는 중이다.
동기들과 비교해 모아놓은 돈은 적고, 이룬 것은 거의 없다. 취준생일 때는 몰랐었던 언론의 불편한 진실을 내가 겪고나니 "과연 어디에서나 좋은 기사를 쓸 수 있을까?"라는 의문도 생겼다.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매일 매일 고민 중이다.
수많은 갈림길에 선 내가 이제 하나의 길을 선택하면 다시 되돌아오기가 어렵다는 것을 몸으로, 마음으로 체감하고 있다.

어떤 선택을 하던 좋은 선택을 할 수 있게 됐으면 좋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