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각중] 요즘 포트폴리오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쓴 기사들을 정리하며 이중에서 내가 잘 썼던 기사는 무엇인가. 내가 부족했던 부분은 무엇이었을까를 다시 되돌아보고 있습니다. 그렇게 보니 정말 무섭게 썼던 기사들도 많았고, 취재도 정말 겁없이 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그런 취재를 이어가야 할텐데, 지금 있는 직장에서는 참 상황이 여의치가 않네요.

[오늘은 공부중] 조명의 기능

조명의 공간기능 조명을 통해서 공간을 지각할 수 있다. 피사체의 기본 형태와 위치를 알려준다. 조명의 촉각기능 세월의 흔적이나 재질을 표현할 수 있다. 광원을 빠르고 희미하게 만들면(폴오프:fall-off) 거칠고 억센 질감이 살아나고, 광원을 느리게 희미하게 하면 부드러운 느낌이 난다. 조명의 시간기능 빛을 통해 시간이나 계절을 표현할 수 있다. 조명의 심리적기능 조명을 통해 감정과 정서를 표현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밝고 폴오프를 느리게 하는 하이키 조명 은 밝은 느낌을 준다. 적은 광량으로 폴오프를 선택적으로 빠르게 하는 로우키 조명 은 신비함, 장엄함, 죄악, 숭고함 등의 느낌을 준다. 암시조명 은 하이키에서 로우키로, 하이앵글에서 로우앵글로 빠르게 전환하며 앞으로 전개될 상황에 대해 암시하는 효과를 준다.

[오늘은 공부중] 인물 구도 여백 이름

헤드룸(Head-room) 화면 사이즈와 피사체의 머리 위 사이의 남는 공간을 의미 아이룸(Eye-room) 인물이 바라보는 방향에 남는 공간을 의미 노우즈룸(Nose-room) 피사체의 코 끝과 화면 사이즈 사이의 남는 공간을 의미 리드룸(Lead-room) 피사체가 가르키는 방향이나 이동하는 방향에 비워두는 공간을 의미 시각룸(Eye-room) 인물이 바라보는 시각 방향에 비워두는 공간을 의미

[오늘은 공부중] 텔레비전 방송사 개국일

개국순서 채널종류 방송사명 개국일 1 지상파 KBS(한국방송공사) 1961. 12. 31. 2 지상파 MBC(문화방송) 1969. 8. 8. 3 지상파 EBS(한국교육방송공사) 1990. 12. 27. 4 지상파 SBS 1991. 12. 9. 5 보도전문 YTN 1995. 3. 1. 6 종합편성 채널A 2011. 12. 1. 종합편성 JTBC 종합편성 MBN 종합편성 TV조선 보도전문 뉴스Y(현 '연합뉴스TV')

[오늘은 공부중] 방송 프로그램의 가상광고 규정

가상광고에 관한 규정은 [방송법 시행령] 제59조의 2 에 규정되어 있다. 가상광고를 틀 수 있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운동경기를 중계하는 방송 프로그램 오락에 관한 프로그램(단, 주시청층이 어린이인 경우는 제외) 스포츠 분야의 보도와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 가상광고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화면 크기의 4분의 1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단, 이동형 멀티미디어 장비는 3분의 1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가상광고가 포함된 프로그램일 경우에는 방송이 시작될 때 가상광고가 포함되어 있음을 밝힐 것. 운동경기가 포함된 프로그램의 경우, 장소, 선수, 심판, 관중 위에 가상광고를 해서는 안된다. (단, 얼굴이 식별되지 않도록 흐리게 처리할 경우는 예외) 오락 또는 스포츠 보도 프로그램의 경우, 가상광고가 프로그램 내용과 구성, 시청에 영향을 미치면 안되며, 가상광고 상품을 언급, 구매를 독려해서는 안된다.

[오늘은 공부중] 미디어의 3자 인식(Third-Person Perception)

한줄 요약 미디어에서 전하는 메시지가 나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 여기거나, 나는 미디어를 보아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 여기는 현상. 설명 미디어에서 "전기 절약을 해야 한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했을 때 "나는 전기 절약을 하고 있기 때문에 괜찮다"라고 여기거나, "나 이외의 사람들은 전기를 낭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 절약이 필요하다"라며 이중잣대로 메시지를 판단하는 현상. 자신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받았을 경우에는 "나는 이미 실천하고 있다"라고 여기거나, "사람들은 특정 이슈에 대한 실천이 필요하다"라며 메시지가 타인에게 더 강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여기는 현상을 말한다.

[오늘은 공부중] 적대적 매체 지각(Hostile Media Perception)

한줄 요약 논쟁적 이슈에 대해 중립적이고 균형 있게 보도하는 뉴스임에도 불구하고 수용자가 자신과 반대되는 진영에 유리하게 편향 됐다고 지각하는 현상 설명 토론 또는 논쟁을 다루는 프로그램에서 진행자가 중립적이고, 균형 있게 사안을 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자들은 상대방에게 유리하게 진행됐다고 여겨지는 현상을 일걷는다. 예를 들어 양대 정당이 논란이 되고 있는 이슈에 대해 토론을 하고 있을 때, 토론을 보고 있는 진보정당 지지자들은 방송사가 토론을 보수정당에 유리하게 진행한다고 여기고, 보수정당 지지자들은 방송사가 진보정당에 유리하게 진행한다고 여기는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