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오늘은 공부중] 삼성SDS에서 교육하는 '청년인재교육'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최근 블로그에 삼성청년인재교육을 키워드로 들어오시는 분이 많으신 것 같네요. 삼성SDS에서 실시하는 교육인데, IT인재 양성을 위해 별도의 교육비도 주며  인재를 양성하고 있는데요. 아마 관련 교육을 받고 싶으신 분들이 미리 알아보기 위해 많이들 찾아오시는 것 같아요. 저는 중간에 취업이 되면서 그만뒀지만, 후기를 간단하게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1. 수업의 난이도(★★★★☆) 결코 쉬운 수업은 아닙니다. 공대생이라서 IT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 있지만, 그럼에도 따라가기가 쉽지는 않았습니다. 수강생은 많고, 짧은 시간에 주어진 과제를 해야하다보니 내 학습속도에 맞춰서 수업이 진행되질 않습니다. 중간중간 도와주시긴 하지만 예습과 복습이 없다면 절대로 따라갈 수 없는 수업입니다. 2. 현업 활용 가능성(★★☆☆☆) 이거는 '딱 이렇다'라고 말씀드리기가 참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제 경험에 비춰서 말씀드리면, 제가 삼성SDS에서 배운 교육은  도커와 쿠버네티스였습니다. 하지만 당시 도커와 쿠버네티스는 결별을 선언했고, 현직자들은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고 있던 시점이었죠. 한 마디로 말하면  이미 끝난 기술을 가르치고 있던 것이죠. 하지만 지원이 한참 전에 종료된 윈도우도  10년 가까이 써왔던 우리나라 환경을 생각한다면, 배운 것을 현업에서 써먹을 수도 있을 것이란 생각도 듭니다. 3. 전망성(★★★☆☆) 이 역시 정확하게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배운 것보다는 낫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저처럼 아예 다른 업종으로 가는 분들이라면 배워도 크게 활용할 수는 없겠지만, 플랜 B를 세울 수 있는 충분한 기반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프로그래밍 언어가  저마다 문법이 다르긴 하지만, 그렇다고 개념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기초만 다져 놓으면 다른 언어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결론이 뭐냐. 배우라는 거냐? 말라는 거냐? 를 따지신다면 ...

[오늘은 사용중] 쉽게 VPN을 쓸 수 있는 오페라 브라우저(Opera)

이미지
안녕하세요!! 간혹 VPN을 써야 할 때가 있죠? 하지만 VPN 설정하기가 어려운 분도 있고, VPN에 잘 안붙는 경우도 있어요. 오늘은 간단하게 VPN을 물릴 수 있는 브라우저. 오페라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옛날에는 굉장히 유명한 브라우저였지만 크롬이나 파이어폭스가 나오고 재단이 중국으로 넘어가면서 시들시들해진 비운의 브라우저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유지 보수가 이뤄지고 있고,  의외로 쓰기 편한 기능들도 많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설치를 해볼까요?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opera.browser&hl=ko&gl=US 위 링크를 눌러서 오페라 브라우저를 설치해주세요!! 이거를 다운 받으셔야 해요! 다른 것은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기능을 최소화한 것이에요! 설치뒤 실행을 하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요. 오른쪽 끝에 있는 사람모양의 아이콘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이런 알림창이 나오는데요. 왼쪽 끝에 있는 VPN 버튼을 누르면 연결이 시작됩니다!! 짜잔!! 미국 서버랑 연결이 됐네요! 오페라 브라우저 하나로 쉽게 VPN을 이용할 수 있다니 신가하죠? 정액 서비스를 이용하면 더 빠르게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하니 한 번 이용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네요!

[오늘도 취재중] 울산공업축제에 주민동원을 취재한 뒤

이미지
취재를 하다보면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 좋은 일이나 나쁜 짓, 교통사고에도 취재를 하다보면 분명 이유는 존재했다.  공무원들에게 주민들을 모으라고 하고, 인센티브 지급까지 고려한 '울산공업축제' 역시 축제의 흥행이라는 이유가 있었다. 35년 만에 부활한 축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주민 동원이 불가피하다는게 울산시의 설명이었다. 하지만 앞에서는 '자발적인 주민 참여'를 외치더니, 뒤에서는 부서마다 주민 백 명씩 모집하라고 지시하는 것이 축제 성공을 위해서 그런 것일까? 울산공업축제 자체의 취지는 좋았다. 공업도시 울산을 알리고, 노동자와 사측, 주민들을 한데 묶는다는 것까지는 괜찮았다. 퍼레이드마다 기초단체장 이름을 외치고, 지자체장 이름을 외치고, 우리구의 팻말을 흔드는게 과연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에서 나오는 것일까? 현장에 가지는 못했지만,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본 현장의 모습은 북한의 체제선전과 다름없어 보였다. 퍼레이드의 구성도 의구심이 들었다. 헬스 트레이너들의 플래시몹은 무엇이며, 울산의 상징인 파란색이 아닌, 지자체장의 정당색인 빨간 티를 입고 춤을 추는 모습은 이 축제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혼란스러웠다. 모빌리티의 변천사를 보여주기 위해 등장한 경운기에는 연예인들이 타고 있었는데, 이는 도로교통법 상 불법에 해당한다. 축제라는 이름으로 면죄부를 쓸 수는 있겠지만, 모빌리티의 변천사를 보여주기 위한 경운기 뒤에 사람을 태울 필요가 있었을까. 취재를 더 해보면 더 많은 이야기가 나올 것도 같다. 가장 궁금한 것은 갑작스럽게 축제가 추진된 배경이다. 축제가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4월 경으로 추정된다. 철저한 준비도 없이 고작 두, 세 달 준비한 축제를 울산의 대표 축제를 만들겠다는 생각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정부가 세금도둑을 잡겠다며 민간단체에 대해 보조금 감사를 벌였고, 지역화폐 보조금 폐지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지자체장이 추진한 축제에 쓴 비용이 제대로 쓰였는지는 누가 감사하고, 제대로 감사할...

[오늘은 생각중] 네x버 브라우저 웨일(Whale)을 썼을 때 벌어지는 일들

이미지
개인정보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요즘, 그만큼 민감한 것이 개인정보죠? 회원가입 할 때 귀찮다고 눌렀던 체크박스 몇 개가 수많은 스팸전화와 광고문자로 이어지는 경우가 허다해서 너무 피곤해요...   인터넷은 어떨까요? 인터넷 세상도 여러분의 생각처럼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가장 쉬운 사례는 유튜브 알고리즘이죠. 어느 순간 내 취향에 맞는 유튜브 영상들이 줄줄줄 나오지 않았나요? 개인에게 맞춰진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에게 맞춤형 결과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이윤을 창출하는 알고리즘이 작용했기 때문이죠.   문제는 이렇게 맞춰진 정보들이 사람들이 확증편향을 갖게 됐을 경우입니다. 다양한 의견을 듣지는 못하고, 유튜브가 제공하는 정보에 "역시 내 생각은 틀리지 않았어!"라는 확증편향을 갖게 해주죠. 유튜브 알고리즘 속에 사람을 가두는 현상을 우리는 필터버블(Filter Bubble) 이라고 부르기로 했답니다.   그러면 기업은 이렇게 개인화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어떻게 할까요? 폐기할까요? . . . 그럴리가요.   여러분이 무료로 편하게 쓰고 있는 서비스 상당수가 이런 개인취향이나 정보를 수집하는데 동의하고 쓰는 경우가 많답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돌아다니는 짤을 하나 주워와봤어요.       네x버, 녹색창을 쓰는 사람들이 어디에서, 무엇을 검색했고, 통신 IP는 무엇인지가 적나라하게 나와있는 사진이라고 합니다. 무슨 생각이 드시나요? 뭐 저정도쯤이야? 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것 이상으로 민감한 문제입니다. 개인의 의료 정보를 추정할 수도 있고, 여행일정이나 동선도 체크할 수 있죠. 범죄자가 녹색창에 쳤다면, 그 검색어는 수사에도 활용될 수가 있습니다. 수사기관에서는 검색어 기록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수사망을 좁혀갈 것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범인을 붙잡을 것입니다.    하지만 수사 과정에서 검색 기록이 악용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