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1의 게시물 표시

[오늘은 생각중] 입.꾹.닫

국가데이터센터로 정부 행정망이 멈췄다. 지자체는 메일 발송이 되지 않아 웹하드나 개인 메일로 보도자료를 보내고 있고, 정보공개청구로 받아야 할 자료도 다운로드를 받을 수가 없다. 사고는 UPS라고 불리는 무정전공급장치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UPS가 무슨 장비인가 싶은 분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하면 '배터리'이다. 그러니 배터리를 지하실로 옮기다가 불이 났고, 그 불로 인해 행정망이 마비가 됐다고 보면 된다.   가장 이해가 안가는 것이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왜 한 곳에 모아두었냐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라지만 메인데이터가 소실되었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백업서버는 다룬 곳에 구축해두는 것이 보안의 가장 기본이자,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메인 서버와 백업 서버를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둘 경우, 건물 폭파, 재난으로 인한 붕괴 등으로 서버가 소실되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백업 서버를 다른 곳에 있었다면, 메인 서버가 셧다운 됐을 경우에 백업 서버를 메인 서버로 전환해 가동했다면 행정마비라는 참사는 없었을 것이다.   시스템 복잡성이 높아지거나, 운영, 유지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은 있지만, 정부시스템이 마비돼 혼란을 겪는 비용보다는 저렴할 것이라 생각한다. 피해를 입지 않은 서버를 조금씩 가동시키며 검증 작업을 하고 있지만, 이 작업 역시 행정비용을 추가 투입해 이뤄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국민들이 겪는 불편비용은 수조, 수억 원에 달할 것이다. 우리나라 행정은 편하게, 효율은 최고로 높게를 누구보다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생기면 그때그때 해결하는 땜질식 처방을 이어가고 있다. '만약', '하마터면', '우려'와 같은 단어들을 쓰면 "벌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너무 걱정한다.", "오버한다" 라며 말한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걱정돼 말을 하는 사람들마저 입을 다물게 만든다. 이번 행정망 마비 사태 역시 누군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

[오늘은 공부중] 데비안으로 웹서버 구축 1

올해인가? 지난해인가? CentOS의 정책이 바뀌면서, 많은 사람들이 차기 서버OS를 고심하고 있다. CentOS는 RHEL에서 사후지원만 빠진, 똑같은 OS이기 때문에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인식이 있었다.(그런데다가 서드파티 앱을 깔면 불안정해지긴 마찬가지지만...) 하지만 이젠 차기 RHEL의 베타테스트 격이 되자 많은 사람들이 OS를 갈아타거나, CentOS를 이은 파생 리눅스로 갈아타고 있다. 나 역시 CentOS가 편하기에 파생 리눅스로 가려 했지만, 기기가 문제였다... 유지보수의 용이성 때문에 나는 최신 버전이 아닌, 2012년형 맥미니를 쓰고 있다. 현재 나오는 맥미니는 저장장치가 온보드(메인보드에 납땜을 해서 나오는 방식) 돼 나오기 때문에 저장장치나 램 하나만 고장나도 기판 전체를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데이터의 소거는 말할 것도 없다.(애플이 타임머신을 팔아먹으려 일부러 이런 방식을 도입한 게 아닌지 의심된다...) CentOS 7.8 이후로는 맥 미니에 클린 설치가 되지 않고 있다. 부팅기기를 선택하는 순간 바로 시스템이 다운된다. 아마 커널 충돌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기에 구 버전을 설치해 사용하고 있었다. 이참에 보안성과 호환성을 높인 버전으로 가고자 CentOS가 아닌 Debian으로 가려고 준비중이다. 우분투가 요즘 대세이긴 하지만 차이가 있다. Ubuntu는 Debian의 파생 버전이다. 기본은 Debian이라는 것인데, 이 Ubuntu를 만드는 데 쓰이는 데비안 버전이 안정화(Stable) 버전이 아닌, 불안정한 베타(beta) 버전으로 제작된다는 것이다. 서버는 무엇보다 안정화가 최우선시 돼야 하기 때문에 데비안을 차기 OS로 선택했다. 다행히도 얼마전에 11버전이 나왔기에, 당분간 OS 마이그레이션이 필요없다는 점도 매력적이었다. 우선 데비안으로 웹 서버를 구축할 예정이지만, 차후 상황으로 봐서 도커로 갈아탈 여지도 있다.

[오늘은 생각중] 블로거로는 돈을 벌 수 없다

블로거는 한국에서 돈을 벌려고 인터넷에 글을 쓰는 사람에게는 블로거는 1순위로 배제되어야 할 대상이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쓰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나 카카오에 글이 잘 걸리지도 않고,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처럼 활성화된 블로깅 툴도 아니기 때문이다. "나는 외국 네티즌들을 노리기 때문에 크게 상관이 없을 것 같다"는 사람들이 블로거를 쓰기도 하지만 이 역시 좋지 않은 선택이다. 인스타그램과 트위터 같은 SNS 툴이 사진 이미지를 찾기엔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현장에 가 찍은 사진들을 블로거에 올린다면, 수많은 네티즌들이 구글 검색창에 연예인의 이름을 쳐서, 당신의 콘텐츠를 선택하길 기대해야 한다. 다른 SNS들은 네티즌들이 이름만 치면 당사자의 이름이 바로 나온다.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필요하긴 하지만, 수많은 팔로워를 확보한다면 광고주와 직접 계약을 해 광고를 하거나, 해당 계정을 수백만 원에 계정을 판매할 수도 있다. "기다려서 광고수익을 받는 것과 똑같지 않느냐?"라는 의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애드센스나 애드포스트 광고는 '클릭수'로 이어져야만 수익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광고 차단앱'도 많이 쓰이고 있기 때문에 수익을 내기는 더 어려워지고 있다. 어느정도 '운'이 있어야 수익을 낼 수 있는 애드센스나 애드포스트와 달리, SNS는 자신이 열심히 노력만 한다면, 수많은 팔로워를 모아 광고 효과를 누리고, 이를 본 광고주나 계정 구매자들이 계정의 가치를 매겨 비용을 지불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블로거를 이용하는 이유는 구글이 쉽게 망하지 않기 때문에 자료가 쉽게 날아가지 않을 것이란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싸이월드 사태를 통해 내 데이터가 쉽게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어느정도 인지하고 있다. 구글이 블로거의 운영중단을 결정할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데이터를 백업하고, 다른 플랫폼에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운영 중단에 대한 ...

[오늘은 다시보는중] 해외파병부대 장병들, 이역만리서 보낸 추석 인사

이미지
추석 당일에 나갔다면 더 좋았을 기사지만... 이놈의 엠바고....

[오늘은 다시보는중] 육군 6포병여단, 통합화력운용 훈련 실시

이미지
진짜 취재 아니면 갈 일이 없는 경기 북부도 가본다....

[오늘은 다시보는중] 국회 대정부 질문, "한미 공조 아래 北 장거리 순항미사일 분석"

이미지
국회 출입 다시 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던 리포트. 뭐 권력욕이나 이런 것보다는 그냥 입법부 소식을 다룬다는 것이 내 정신적인 만족감이 크기에...

[오늘은 다시보는중] 육군 72사단, 공용화기 실사격 훈련 실시

이미지
진짜 군인들.. 땡볕에서 고생이 많다...

[오늘은 다시보는중]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국제안보협력

이미지
행사 기사는 몇 번을 써도 쉽지 않은 듯... 모두가 똑같은 내용을 전하기에, 차별성을 더할 방법이 많지 않은 것 같다...

[오늘은 다시보는중] 육군특수전학교, 특수작전 드론조종자 교육

이미지
군대에 있을 때도 가본적 없는 KCTC 훈련장... 차로 한참을 달렸는데도 훈련장은 안나와서 당황했다... 함께 간 촬영감독 선배가 "여기는 이 일대 전체가 다 훈련장"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