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OS Server에서 리눅스로 저는 꽤 오래 전부터 macOS를 이용해 서버를 구성해왔습니다. "macOS 서버가 서버냐"라고 하시면 할 말은 없지만, 나름 유용하게 썼습니다.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이용자가 많이 없으니 바이러스도 많지 않았죠. 애플이 개인용 Server제품군을 사실상 '포기'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을 때도 '설마'하면서 계속 써왔습니다. 그 후로도 한 2년은 버텨왔는데, 아무래도 속도나 보안, 활용성 측면에서 떨어진다는 것은 피할 수가 없는 것 같았습니다. OS를 바꾼다는 것은 결코 쉬운 결정은 아닙니다. 제가 모르는 분야에 새롭게 접어든다는 것 뿐만 아니라, 기존에 쌓아놨던 데이터를 새로운 시스템에 맞게 전부 수정해야 한다는 의미니까요. 하지만 프로그래밍의 기본이라고 여겨지던 C언어의 자리를 파이썬이 조금씩 대체해가고 있듯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기에 리눅스로 갈아탈 준비를 하게 됐습니다. 왜 서버는 '리눅스'여야 할까? "서버OS는 왜 리눅스여야 하느냐"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원래 그런 것 아니냐", "많이 쓰니까?" 와 같이 명확한 답은 잘 나오지 않더라고요. 간단하게 말씀 드리면 '돈' 때문입니다. 윈도우도, 유닉스도, 리눅스도 모두 서버제품군이 있습니다. 하지만 Windows Server는 돈이 많이 들고, Unix도 대부분의 제품군이 유료 제품군이죠. 반면 Linux는 대부분의 제품군이 무료입니다. Redhat RHEL이 유료긴 하지만 얘네가 특이케이스인 겁니다. 애초에 Linux 자체가 모든 제품을 '오픈소스(Opensource)', '프리웨어(Freeware)'로 구성하기 위해 시작된 OS니까요. 어떤 OS를 써야 할까? 리눅스의 '다양성'은 제가 리눅스로 넘어가기를 망설이는 요소 중에 하나였습니다. macO...